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 키우기 - 화내고 야단치는 부모에서 아이와 함께 커가는 부모로
핼 에드워드 렁켈 지음, 김양미 옮김 / 샘터사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양육, 육아 지침서가 많이 쏟아져 나오는 요즘 아이와 관계 형성에 관한 책을 만났다.

 

 

"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 키우기 (핼 에드워드 렁켈 지음, 김양미 옮김, 샘터 펴냄)"

부모와 자녀 사이의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기적의 양육법이라는 작가의 제안에

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총 4부로 구성된 이 책은

1부 아이가 정말로 원하는 '쿨'한 부모 되기

2부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공간이 필요하다

3부 냉정을 유지한다는 것은 거리는 만들어주는 것이다

4부 소리 지르지 않는 양육을 실행에 옮기기

라는 조금은 난해한 소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읽어 보기로...

나는 아이가 없다. 대신 아이들을 가르친다.

수업을 마치고 나면 나의 목상태는 득음의 경지에 다다른다. 나 역시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말을 하고 필요할 땐 소리를 지른다. 그래서 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 가르치기를 위해 책을 읽기시작했다.

책을 읽으며 정작 소리를 지르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건 부모의 잘못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렇다면 침착하게 통제가 아닌 관계 형성을 위해 어떤 양육법을 택해야할까?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아이를 통제하기 위해 부모는 화를 내기도 한다. 그런데

그 화로 인해 관계를 망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저 올바른 양육을 위해 화를

낸다고 합리화하며 아이를 몰아세운다.

이 과정에서 아이 역시 과도하고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된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이란다.

아이가 성장하는데 성장통을 앓듯 부모 역시 성장통을 앓는데 그것은 호된 경험을

통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고 한다.

중간에 상담 편지가 소개되어 있는데 조언을 통해 아이 스스로 해결하며 감정을

통제해냈다는 설명이었다.

어른도 고민이나 걱정이 있을 때 혼자만의 공간이 필요하듯 아이도 자기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시간과 공간이 필요한 것 같았다.

 

성인이 된 남녀 사이에 자녀가 생기고 부모가 되었지만 아직 경험하지 못한 양육이라는

문제와 마주했을 때 당혹스러울 것이다.

내 아이를 조금 더 나은 아이로 키워내기 위해 아이와 싸움에서 이겨 부모가 생각하는

잣대에 아이를 끼워 맞춰 훌륭하게 키워내고 싶다는 욕심도 생길지 모른다.

하지만 아이와 관계 역시 교감이 없이 지시만 한다면 그 관계는 견고하고 믿음이

가는 관계로 발전할 수 없다.

내가 먼저 나를 사랑하고 내 감정을 통제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이를 대하면 평화롭고 함께 성장하는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 키우기는 결국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과정이며 결과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