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트라다무스의 암호 1 샘터 외국소설선 12
톰 에겔란 지음, 손화수 옮김 / 샘터사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신을 믿는 자, 마침내 신을 부정하게 되리라
신을 믿지 않는 자, 비로소 신을 만나게 되리라"
 
책표지를 보며 나는 이 말뜻을 곱씹어 보았다.
'도대체 작가는 얼마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쏟아내려고 이런
문구로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걸까?'
 
"노스트라다무스의 암호1 (톰 에겔란 장편소설, 손화수 옮김, 샘터 펴냄)"은 노르웨이
국민작가 톰 에겔란의 화제작으로 1,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만 개의 예언을 남기고 떠난 노스트라다무스의 비밀 암호, 그 암호를 풀려고 애쓰는 자들은
암호가 풀리고 신의 정체가 드러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나 신의 정체를 알았을 때 그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지.
신, 성체에 관한 주제로 우리를 흥미진진하게 했던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를 읽고 영화로
보았던 나는 톰 에겔란은 어떤 방향으로 이야기를 풀어낼지 궁금해 견딜 수가 없었다.
노르웨이의 고고학자 비외른 벨토는 중세 암호 해독 전문자인 이탈리아 교수 로렌조 모레티의
세미나에 참석한다. 그런데 이 세미나에서 엄청난 일이 벌어지고 만다.
갑작스레 나타난 어떤 이들에게 모레티 교수는 납치당하고, 그의 아내 안젤리카와 비외른 벨토는
모레티와 모레티의 아들 실비오를 찾기 위해 방법을 찾아 헤맨다.
모레티와 실비오를 납치한 사람들은 사라진 줄만 알았던 중세 카톨릭 비밀결사이자 신의 이름으로
무자비한 살인을 저지르는 신의 군대, 비카리우스 필리데이였다.
그들은 모레티 교수를 납치해 노스트라다무스의 암호를 해독하도록 시킨다.
그를 조종하고, 빠른 암호 해독을 위해 실비오를 납치한 것.
여기까지 읽으며 그들이 왜 그 암호를 풀고 싶어 하는지 나 역시 궁금해졌다.
암호의 내용보다 살인까지 저지르며 거칠고, 급하게 암호를 해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안젤리카와 비외른 벨토는 점점 더 미궁 속을 헤매는 기분이다.
그들을 돕고자 하는 이들이 죽는 모습을 보는 것도 고통스럽기만 하다.
그 고통도 큰데 비외른 벨토는 이제 살인범의 누명까지 쓰게 된다.
이 둘은 각기 다른 공간에서 노스트라다무스의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첫 번째 희생자처럼
온몸의 피를 다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살해되기 전에 그리고 누구의 적인지 모를 그들의 손에
이 암호가 넘어가기 전에.
 
처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종교적인 측면에 치중한 이야기인가 궁금했다.
하지만 내용이 전개되며 어쩌면 과학적 측면에 더 치중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
메디치 가문 그리고 노스트라다무스... 그리고 그 속에 담긴 비밀스런 이야기는 솔직히 진실과
허구의 경계가 모호하게 여겨질 정도로 나를 흥미진진하게 했다.
신과 인간, 예언과 기록... 그리고 그들을 쫓고 찾아 헤매는 이들.
1권을 읽고 나니... 2권이 너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