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마녀 축제에 가자 샘터어린이문고 42
정옥 지음, 정은희 그림 / 샘터사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학이다.

학교에서 놓여난 아이들은 어딘가로 떠나고 싶어한다.

그곳이 시골 할머니댁인지, 썰매장이나 놀이 공원인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무언가 다른 것을 찾아 움직이고 싶을 뿐이다.

최근 내가 만난 이야기 하나가 있다. 모험을 꿈꾸는 아이들에게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이야기.

"우리 마녀 축제에 가자 (정옥 글, 정은희 그림, 샘터 펴냄)"이 바로 그

상상과 모험이 가득한 이야기이다.

 

 

꼬마 송송은 '꼬마 마녀'의 줄임인 꼬마가 이름 앞에 붙는 아이다.

복숭아를 먹고 자신을 낳은 엄마와 둘이 산다.

다른 친구들은 방학이라 어디론가 떠나는데 엄마는 도통 움직일 생각을 하지 않는다.

엄마에게 가출을 하겠다 엄포를 놓지만 엄마는 요지부동이다. '이런... 빗자루만 있다면

어디든지 갈텐데...' 송송은 빗자루를 구하기위해 마녀 축제에 가기로 한다.

꼬리가 없는 고양이 오디를 만나 같이 가지로 하지만 친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송송의 친구들은 모두 학원때문에 바빠 송송과 함께 할 수 없다.

엄마도 가지 안겠다는 마녀 축제로 향하는 길.. 달팽이 기차에서 쌍둥이 피노와 키오,

해리를 만나 함께 마녀 축제로 향한다. 가는 길에 여러가지 신기하지만 엉뚱한 것들을

구경하고, 팥죽 쑤는 할머니를 만나 수수께끼의 도움이 될 힌트를 얻는다.

계수나무 시계 광장에 모여 수수께끼를 시작하고, 송송, 오디, 해리, 피노와 키오는 세

가지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길을 나선다.

호수 위 작은 섬, 거꾸로 자라는 소나무, 날지 못하는 새에게 얻는 노래 새의 깃.

알 수 없는 것들이지만 모두 고민을 해 풀어내고, 돌아와 마고할미에게 답을 알리고

소원을 말한다. 꼬리가 필요한 오디, 아는 것을 잊게하는 약이 필요한 해리, 마법 딱지와

마법 구슬이 필요한 피노와 키오 그리고 빗자루가 필요한 송송.

동지 밤 팥죽까지 얻어먹고 아이들은 집으로 돌아온다.

마고할미가 주신 씨앗으로 아이들은 원하는 것을 얻지만 아직 송송의 씨앗만 작은 나무이다.

송송은 싸리비를 만들었을까?

 

길고 긴 동지 밤... 아이들은 이야기와 간식이 그리울 것이다.

이 책은 초등 중학년 이상과 함께 읽으며 동지의 의미, 동지 팥죽을 먹는 이유, 절기 등을

알아보고, 송송과 친구들의 이동을 표로 정리하고, 수수께끼를 만들어 보면 좋을 것 같다.

마법으 빗자루가 갖고 싶은 어른인 나도 송송과 함께 마녀 축제에 다녀와 어디선가 싸리비

한 자루가 짠~ 하고 나타날 것만 같은 기대감에 겨울 밤이 지루하지만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