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그저 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독서나 글쓰기에 대한 책을 종종 접하는데 딱히 큰 깨달음을 얻는다기 보다는 그저 그런 방법이

있다는 정도를 아는 것으로 끝나는 것들이었다.

그러다 최근에 만난 "오직 독서뿐 (정민 지음, 김영사 펴냄)"을 읽고 뒤통수를 얻어 맞은 기분이

들었다.

왜일까?

 

 

 

 

책 속에는 9인의 옛사람이 독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 이야기들은 '독서를 왜? 어떻게? 무엇을?' 에 대한 물음과 답을 제시한다.

나는 단지 책을 좋아하고 읽기를 즐기는 사람일 뿐 그 속에서 무엇을 얻어야할지, 어떤 물음을

던져야할지 막막했다.

그저 내가 읽는 책의 작가가 끌어가는 대로 따라갈 뿐.

그런데 이 책의 작가는 옛사람들의 독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 해석해주며 이런 나를 꾸짖었다.

어쩌면 나는 처음 한글을 배우고 스스로 읽기가 가능해졌을 때부터 그저 읽는 즐거움에 빠져

책을 읽어내려갔는지 모른다.

결국 이런 나의 독서법은 읽고 난 후 암기에 길들여진 입시생처럼 그 내용을 모조리 잊는 지경

에 이르렀다.

'아, 그 책... 읽었지... 내용이 뭐였더라?'

읽은 책들을 떠올리며 내용을 기억해내기는 어려운 숙제같았다.

 

[오직 독서뿐] 책 속에 소개된 옛사람 9인은 각각 주제가 있는 이야기를 펼쳐 나간다.

허균- 책을 읽는 까닭

이익 - 의문과 메모의 독서법

양응수 - 옛 성현의 독서 아포리즘

안정복 - 바탕을 다지는 자득의 독서

홍대용 - 독서의 바른 태도와 방법

박지원 - 독서는 깨달음이다

이덕무 - 생활의 습관, 독서의 발견

홍석주 - 안목과 통찰

홍길주 - 사색과 깨달음의 독서

 

내가 책을 읽는 까닭과 그 방법, 그 내용을 읽으며 의문을 가지며 메모로 나만의 독서법을

찾아가는 것이야말로 참다운 독서라는 이야기를 하는 동안 나 자신의 독서법이 얼마나

무지하고 시간낭비였는지를 깨달아갔다.

나는 그저 내 필요에 의해 책을 고르고 이 책이 아니면 저 책에서 답을 찾으면 그만이라고

여겼다.

책 속에 내용을 요약해 수업 내내 앵무새처럼 떠들고 그 속에 깃든 행위를 흉내내기에

급급한 어른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며 무언가를 머리를 맞은 느낌이 들었다.

내가 해왔던 독서란 아이가 글을 배워 읽어내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p. 191

"책을 읽을 때 공연히 소리의 기세를 펴거나, 글자를 잘못 틀리게 읽는 것, 어거지로 자구를

가져다 붙이거나, 입에서 나오는 대로 논난을 펼치는 것, 대답하는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지나쳐버려 돌아보지 않거나, 한 번 묻고 한 번 대답하고는 다시는 생각하지 않는 것 등은

더 나아짐을 구하려는 생각이 없는 것이니, 함께 배우기 부족하다. - 홍대용, [여매헌서]"

이 부분을 읽을 때 독서를 하며 내가 얼마나 잘난 척을 해대며 독서를 하는지 알게 되었다.

책을 다 읽고 나서도 나는 한동안 다른 책을 읽지 못했다.

나에게 독서란 무엇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며 나 자신을 괴롭히는 중이다.

답은 없다... 오직 도서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