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회루에서 세종 대왕을 만나다 마법의 두루마리 11
햇살과나무꾼 지음, 이상규 그림, 신병주 감수 / 비룡소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사는 어렵다는 생각에 나 역시 우리 역사를 공부하는 내내 외우기식으로 무식하게 공부를 했던

기억이 있다. 우리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마법의 두루마리 - 경회루에서 세종대왕을

만나다 (햇살과나무꾼 글, 이상규 그림, 신병주 감수, 비룡소 펴냄)"는 마법의 두루마리 시리즈 중

11번째 이야기로 세종대왕과 훈민정음에 관한 이야기이다.

역사학자인 아빠를 따라 경주의 작은  마을로 이사 온 준호, 민호 형제는 이미 두루마리로 여러 번

과거로 여행을 다녀왔다. 그 여행에 동참하는 이웃집수진이와 준호, 민호 형제는 한동안 떠나지 않은

여행이 떠나고 싶어 좀이 쑤신다. 세 아이는 지하실로 내려가 배낭을 찾고 두루마리와 모래시계를

찾으며 제일 처음 과거 여행지인 석기 시대를 떠올린다.

이제 시간을 분배해 돌아올 것을 계산할 줄도 알게 된 세 아이는 또 다시 과거로 여행을 떠난다.

아이들은 조선 초기의 어느 궁으로 떨어진다. 두루마리의 팻말로 그 시대에 맞는 옷까지 갖춰 입고

아이들은 조선의 궁녀와 환관으로 변신한다. 이미 우리가 알고 있던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통해

훈민정음의 탄생 배경이 그리 순탄치만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눈앞에서 직접

세종대왕이 학자들과 맞서며 우리의 한글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보며 한글 탄생이 얼마나 힘겨웠

는지 알 수 있었다.

근심에 빠진 세종대왕에게 용기를 주며 한글이 많은 백성들이 얼마나 유용하고 편리한지 또 얼마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인지를 이야기 해준다.

이제 세 아이는 다시 지하실로 돌아온다. 마법의 두루마리를 가지고.

이 책은 초등 중학년 이상과 함께 읽으며 역사 속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살펴보고 시리즈의 주제에

맞춰 관련 신문기사 등을 함께 읽어 보고 내용을 정리할 수 있으며 용어설명과 책 뒤쪽에 준호의

역사 노트를 따라 함께 시대적 배경, 사건, 훈민정음의 모든 것을 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다.

'나에게 마법의 두루마리가 있다면?'이라는 주제로 과거로 떠나고 싶은 시대를 정해 그 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알아보면 유익하고 재미있는 한국사 시간이 될 것 같아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어느 시대로 떠날지 상상을 해보았다.

한국사는 국민 모두가 알아야할 우리의 소중한 역사이다.

한국사에 대해 알고 싶고 쉽게 공부하고픈 이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