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오줌보 축구 국시꼬랭이 동네 16
이춘희 글, 이혜란 그림,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10년 3월
구판절판


처음 이 책을 받고 나는 오줌보보다 웃음보가 먼저 터졌다.

뚫어진 양말, 검정 고무신, 낡은 바지 무릎을 덧댄 아이들의 모습...

예전에는 공이 없어 짚으로 공을 만들어 축구를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하지만 돼지 오줌보로 축구를 했다는 말에 나는 어리둥절했다.

'어떻게?'

이야기는 방앗간집 할아버지 환갑날을 맞아 돼지를 잡는다는 명수 엄마의 말을 듣고 신이 난 명수에서

부터 시작된다.

엄마가 차려낸 명수와 엄마의 밥상에는 된장찌개와 김, 간장, 고추장, 총각무가 올려져 있다.

밥은 온통 보리 뿐이다.

그래서 그 시절 아이들은 동네 잔치나 제사를 손꼽아 기다렸는지도 모른다.

축구를 할 수 있다는 생각과 맛있는 음식을 배불리 먹을 수 있다는 생각이 아이들을 가슴 셀레이게

하지 않았을까?



축구 생각에 신이 난 명수는 밥상에서 장난을 치다 엄마에게 야단을 들었다.

하지만 이미 축구, 돼지 오줌보에 마음을 빼앗긴 명수는 울거나 야단 듣는 것이 두렵지 않았을 것이다.

드디어 잔치 전날... 네 다리가 꽁꽁 묶인 돼지가 등장하고 아이들은 서로 돼지 오줌보를 갖고 싶어 한다.

명수는 아저씨들에게 이미 부탁한 터라 아이들 사이를 비집고 아저씨가 던져 준 돼지 오줌보를 받아

아이들과 텃논으로 달린다.

오줌보에서 오줌을 흘러 나오게 하고 공기를 넣어 축구를 시작한다.

이리저리 달리며 신나는 축구 놀이를 하던 중 명수의 배 밑에 깔린 돼지 오줌보 축구공이 터지고

명수는 울음보를 터뜨린다.

아이들은 짚으로 공을 만들어 축구를 하자, 내일 잔칫집에서 맛있는 음식을 배불리 먹자... 라는

말로 명수를 달랜다.

잔칫날.. 어제 터뜨린 돼지 오줌보 따위는 잊고 오래간만에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아이들의 얼굴은

평화롭기만하다.

돼지 오줌보 축구는 이렇게 아름다움만 가득 주고 이야기를 끝낸다.



이 이야기의 배경이 언제일까 나는 내심 궁금했다.

우리나라의 축구는 삼국 시대부터 시작되었다는 뒤쪽에 실린 설명에 나는 조금 의아했다.

'책을 읽고, 활을 쏘고, 시를 즐기던 선비들에게 축구라니?'

하지만 우리 민족의 축구 사랑이 그 때부터 시작됐다고 생각하니 월드컵마다 떠들썩한 응원을 보내는 우리의

모습은 선조 때부터 이어져 내려온 것이 아닌가 자랑스럽기도 하다.

명수와 동네 아이들은 가난했지만 참으로 행복한 시절을 보냈던 것 같다.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서 볼 수 없는 정이 느껴지는 이야기...

친구의 물건을 망가뜨리고 대신 다른 방안을 제시하는 여유로움과 아끼던 돼지 오줌보 축구공을 잃고도

씨익~ 웃어 보이는 밝음...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이런 면이 있을까?

나의 아빠, 아빠의 아빠가 살던 곳을 다녀온 기분이 드는 책... <돼지 오줌보 축구>는 우리에게 추억과 새로운 경험을 선물 해준 고마운 책이다.



독후활동> 엄마, 아빠가 어릴적에 즐겨했던 놀이 조사해보기

제기, 연, 윷놀이 필요한 재료 및 만들기 방법 설명글로 요약하기

풍선을 이용한 돼지 오줌보 축구공 만들어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