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학자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4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물창고에서 만든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시리즈 중 4번째 이야기인 이 책은

두툼함에 나를 한 번 놀라게 했고, 다른 역사 이야기 책과 달리 아빠가 아이에게

혹은 엄마가 아이에게 설명하는 것처럼 쉬워 읽는 내내 나를 또 한 번 놀라게 했다.

나는 유독 학창시절 역사에 약했다.

어느 해, 누가, 무엇을, 어찌하여... 등등 외워야 하는 것이 너무 많은 역사 과목을 나는

참으로 싫어했고 그만큼 점수도 나오지 않아 나는 학창시절 내내 역사 과목은 낙제를

간신히 면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런데 내가 역사책을?

<전쟁영웅 이야기>를 쉽게 읽었던 탓인지 나는 겁없이 책 장을 넘겼다.

 

월출산의 학성 왕인 박사는 유학을 익혀 일본으로 건너가 가르침을 전했다고 하고

소머리 소년 우두는 강수라는 새로운 이름과 더불어 대쪽같은 선비정신을 가졌고

신라 문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신라가 망할 거라 예언했던 최치원,

고려 사설 기관으로 최초의 사립대학 <구재 학당>을 세운 최충,

학문이 바로 서야 세상이 바로 선다는 뜻을 가지고 밤잠을 아껴가며 공부를 한

안향, 안향의 성리학을 이어 받아 조선을 여는 힘이 될 수 있게 키워낸 이색,

군주에 대한 의리를 신하의 덕목으로 안 도학정치의 정암 조광조, 조선중기의 유학자로

주기론의 선구자인 서경덕, 조선 중기의 학자로 도산서원을 설립, 후진양성에 힘썼던

퇴계 이황, 신사임당의 아들이며 조선 중기의 학자, '시무육조', '십만양병설'을 주장한

율곡 이이, <천주실의>등을 들여와 한국 최초의 서학을 도입했으며 <지봉유설>로 서양과

천주교에 대한 지식을 소개한 이수광,  조선후기 실학자로 실용적인 학문을 주장한 이익,

이익의 사고는 정약용 등에게 이어져 계승되었고,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저서를 남기고

한국의 역사, 지리 등에 관심이 많았으며 합리주의적 과학 정신을 가지고 있던 다산 정약용.

이렇게 13명의 선비학자가 소개 되어있다.

나는 책을 읽으며 시대에 흐름에 따른 이들의 움직임에 눈을 부릅떴다.

이들이 이렇게 이어져 내려오지 않았다면 지금 우리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

선비학자들은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책읽기를 연구와 몰두에 밤잠을 아끼지 않았다.

 

세상의 짐을 모두 짊어진듯 매일 고민과 스트레스에 허덕이는 우리들...

선비학자의 이야기로 아이와 어른 모두에게 연구와 몰두, 열정이라는 비타민을 선물하고 싶다.

매일 조금씩 나를 일으키는 새로운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