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월의 밤들은 나에게 각기 다른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듯하다.

그림책과 동화에 이어 나의 독서는 동서양의 여성에 관한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했고, 그 중 난설헌을 만난 건 잠재된 우울을 끄집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난설헌 (최문희 장편소설, 다산책방 펴냄)"의 표지 속 그녀는 멍하니 나를 응시하고 있지만

실은 하고 싶은 말이 많은 표정이다.

그 누구도 귀 기울이지 않았던 그녀의 이야기, 그 이야기는 어쩌면 아프고 또 어쩌면 황당할

지도 모른다.

적어도 내 느낌으로는.

 

"나에게는 세 가지 한(恨)이 있다.

여자로 태어난 것, 조선에서 태어난 것,

그리고 남편의 아내가 된 것 ……."


뒷 장에 적힌 이 문장을 보며 가슴이 쿵하고 내려앉는 건 아마도 나의 결혼 생활 역시 순탄치

않아 나의 남편의 아내가 된 것을 후회하고 있어서가 아닌가 싶었다.

혹 그녀도 그럴까?


영민한 초희는 부모님에 의해 결정된 결혼으로 성립과 부부가 된다.

그리고 아내의 삶을 살아가게 된 초희는 지독한 고독과 여자의 삶을 강요 당한다.

남편을 하늘같이 보필하고, 자녀를 양육하는 오직 아내와 어머니의 삶으로만 사는 것이

너의 소임이라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는 또 다른 그녀들 역시 초희와 같은 여자였다.

이야기 시작부터 왠지 느낌이 좋지 않았다.

비바람에 휘날리던 녹의홍상의 흉물스런 모습, 눅눅한 바람과 함께 시작되는

그녀의 또 다른 삶이.

 

마음에 품은 다른 이가 있었다. 그녀의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된 그가.

하지만 그 시대와 맞지 않는 사고였다. 조선의 여인들은 그저 부모님의 선택에 따라야했

으므로.

자신이 선택하지 못한 이를 가슴에 품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건 그저 혼자의 마음일 뿐, 누군가에게 질타를 당할 일은 아니었을텐데 시대는

그녀를 조금 다른 시선으로 보는 듯했다.


그녀의 시모는 특히 더 했다. 그녀의 행동 하나하나, 말투 하나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못난 아들을 탓하기 전에 그녀를 부정한 여인 취급하기에 급급했으니 말이다.

그렇게 그녀 난설헌의 결혼 생활은 시모의 구박 아닌 구박으로 얼룩진 모진 시집살이와

온전히 자신의 편이 되어줘야할 남편의 부재로 시작된다.

그럼에도 그녀는 누군가에게 자신의 외로움을 부당한 대우들을 털어놓을 수 없었다.

시댁 어른 중 단 한 명 그녀를 이해하고 보듬어주는 숙모님 덕분에 하루하루를 버텨냈던

것 같다.

세월이 흘러 딸과 아들을 얻었지만 모두 먼저 제 세상으로 보내고 이제 그녀는 어미의

자리에 자신을 끼워맞출 수도 없어 기꺼이 그들을 따라 나선다.

 

 

스물일곱, 그녀는 하얗게 말라가는 꽃처럼 그렇게 사라졌다.

여자이기에 글조차 배울 수 없는 시대에 태어나 아버지와 오빠의 도움으로 재능을 발견한

영민하고 감성적이던 그녀의 이야기는 동생 허균이 펴낸 <허난설헌집>을 통해 우리에게

알려졌다.

신분의 차이, 여성이라는 이유, 자식을 잃은 상실감.... 그녀를 만나던 밤이 지났지만,

그녀의 모습은 종종 기억이 날 것만 같다.

봄밤, 꽃처럼 피어난 화사한 시어들이 함께 한 이야기 <난설헌>을 읽으며 위로가 된 건

같은 여자의 삶이 이렇게 달라 정말 다행이다 싶은 내 이기심과 안도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