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EBS 자본주의 제작팀 지음 / 가나출판사 / 2013년 9월
평점 :
1~3부는 돈과 관련된 영역/
4-5부는 개선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차근하게 알려주는 데요.
줄거리
1부.빛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왜 물가는 계속 올라가기만 할까요 ?
이유는 경제가 안좋아서 ?
근본적인 이유를 알려줍니다.
물가가 계속 오르기만 하는 이유는 수요가 적어지고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 하락되지만
수요가 많고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이 올라간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하락되고 물건 값이 오른다.
은행은 있지도 않은 돈을 만들어 낸다.돈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은행이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해주는 과정에 있다.
예를 들면 은행에 100원을 예금하면 은행은 10원을 남기고 90원을 A라는 사람에게 대출해 준다.
그렇게 되면 전체 100원이었던 돈이 190원이 된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시중의 통화를 조절한다.
기준 금리를 낯추면 통화량이 늘어나고 높이면 줄어든다.
빛이 없으면 돈도 없다.돈은 빛이다.빛에 대한 이자를 받아 은행은 수익을 챙긴다.
빚지지 말고 성실하게 일을 해야 한다고 배우지만, 자본주의에 하에서는 빚이 없으면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2.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재테크의 함정은 은행이 가장 돈을 많이 번다는 것이다.
(위의 논리대로면 그럴듯 ㅠㅠ)
은행은 정부가 보조해주지도 않으며 이익을 내는 기업일뿐이다.
은행도 다 알지 못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은행전문가들도 상품들을 모른다 헐! 2008년 미국 모지지론 사태도 이런 상황이었다 ㅜㅜ)
책임도 지지 않는다.
보험도 재테크가 아니며 (설명서에 깨알같이 적혀있는 조건등 읽기 난해하기 한 것도 금융사의 또다른 함정 !! 하나하나 따져서 물어야 한다.)
그렇다고 저축만으로는 행복해 질수 없다.
은행 믿지 마라는 이야기인데 결국 은행도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이나 민간인들에게 대출을 해 줘도
은행이 파산 상태일경우 누군가는 돌려 받지 못하게 되는 구조.
개선점: 꾸준히 금융지식을 쌓아 부동산,예금,펀드 등 분산투자를 해야한다.
3.나도 모르게 털리는 소비 마케팅
자신도 모르게 끊임없이 소비를 강요당하는 사회에서 살아간다.
아이들은 2개월부터 브랜드에 영향을 받아 자기 정체성을 브랜드를 통해 묘사하게 만든다.
(나이키신발을 신은 모습이 나라고 생각하는 등..)
쇼핑에도 다양한 감정들
(우울할때 많이 지르며 여성들은 남친과 헤어진 후 쇼핑으로 푸는 경향),
관계지향적 소비
(같은 동호회, 모임에서 과시욕이나 집단 소속감으로 사는 경우도 많음)
를 하기도 하며 여성들은 판매자들이 감정적인 교류를 응해주면 자신의 필요여부와는 상관없이 구매한다.
4.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는 있는가?
자본주의 250년(산업혁명이후)이 지났고 끊임없이 위기를 겪고 이겨왔다.
자본주의 구조주의 특성상 계속해서 상승했다가 하강하는 악순환을 만들어낸다.
누군가는 파산을 해야 하며 계속해서 더 많은 수익을 낸다.
호황이 지나면 위기가 찾아온다.
5.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모두다 잘 살게 될거 라는 아담 스미스,
혁명이 일어나 자본주의가 몰락하고 사회주의가 될거라는 칼 마르크스도 틀렸다.
정부가 규제해야 한다던 케언스도 , 또 시장의 자율성을 믿어야 한다던 하이에크도 더이상 이렇다할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행복지수는 OECD국가중 35개국중 32위
경제성장은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그에 비해 행복지수는 어이없을 정도다.
자본주의는 인류의 부를 만들어 내는 좋은 것이지만 이것이 누구를 위한 자본주의가 되느냐에 길이 달라진다.
지금은 은행과 자본가를 위한 자본주의였다면, 이제는 약자를 위한 자본주의를 외치라고 한다.
(복지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북유럽 국가들처럼 국가가 잘사는 사람에게 세금을 높여서 하위층인 사람들에게 실엽율, 대학등록금제도등 복지 개선 제도를 개선시키는 방안등)
금융지식이 이렇게 없는지 ㅠㅠ 읽고 나서 각성했네요.
제도는 일개인 제가 어떻게 할수 없으니
은행보다 분산 투자 꼼꼼하게 살피고 공부해야 겠어요. 전문가에게 물어본다면 은행 관계자가 아닌 전문적인 재무 컨설팅하는 분을 찾거나
쇼핑할때 마음이 우울하거나 또 너무 기분이 좋을때도 자제해야 할듯 하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uCYaHIeo0hU
우리가 해야할 복지는 단순히 돈을 주는 복지가 아닌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복지를 해야한다. 약자들이 자립할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건강한 복지인것이다.
본문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