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 이야기 1 - 태조부터 성종까지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깊이 읽기 11
박영규 지음, 최상규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조선에 대해 한 번더 읽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것을 알았어도 정말 모르는 것이 많을 정도였다.   그런데 정말 쉽게 나와있어서 재미있었다.     

조선을 세운 이성계는 고려가 원나라의 지배를 받던 1335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이자춘은 원나라의 관리였고 어머니는 영흥의 세력가 최한기의 딸이었다.    

태조가 왕위에서 물러나자 이방원의 부하들인 하륜, 이숙번, 이거이, 조영무, 민무구 등이 정권을 장악했다.   그들은 모두 이방원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이방원은 둘째 형 방과에게 왕위를 잇게 했다.    

이방원이 둘째 형 정종을 압박하여 밀어내고 왕위에 오르자 함흠에 머무르고 있던 이성계는 분을 삼키며 이방원을 응징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성계는 빼앗긴 왕위를 되찾기 위해 함흥 주변의 군사를 끌어 모으고 있었다.    

1418년 6웧 태종의 셋째 아들 충녕대군 도는 폐위된 양녕대군 대신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두 달 후인 8월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세종이 왕위에 올랐던 해는 1418년 8월이었다.    

세종의 업적 중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훈민정음 창제이다.   1432년 11월 7일 세종은 신하들에게 법전을 이두로 번역하여 백성들에게 반포하라고 했다.   그런데 그 훈민정음은 부녀자와 평민 사이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였다.    

1455년 6월 수양대군은 마침내 단종을 밀어내고 왕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자신의 측근들인 한며회 권람, 신숙주, 정인지, 정창손등을 중요한 자리에 앉히고 조정을 장악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려사 이야기 3 - 명종부터 공양왕까지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깊이 읽기 5
박영규 지음, 이동철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고려 시대 후반에 왕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내가 아는 왕은 그렇게 많지 않았지만 그래도 처음 보는 왕이라도 재미있었다.    

명종은 1131년 10월에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170년 9월에 반란을 일으킨 정중부 등이 의종을 몰아내고 의종의 아우인 그를 왕으로 세워 고려 제19대 왕 명종이 되었다.   그의 나이는 40세였다.    

고종은 아버지 강종이 강화도에 귀양 갔을 때 안악현으로 쫓겨 갔다.   그러다가 강종이 왕위에 오른 이듬해인 1212년 개겨으로 돌아와 그해 7월 왕태자가 되었다.   그리고 1213년 8월 죽음을 앞둔 강종에게서 왕위를 받고 고려 제23대 왕이 되었다.   그의 나이 22세였다.    

충선왕은 1277년 1월 3세 나이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298년 충렬왕이 물러나자 24세 나이로 고려 제26대 왕에 올랐다.   충선왕은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했다.    

충숙왕의 어머니 의비는 충선왕이 세자 시절 원나라에서 맞아들인 부인이었다.   그 때문에 의비에게서 태어난 충숙왕은 원나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공민왕이 1372년 9월 홍륜 등의 손에 죽음을 당하자 이인임은 곧 홍륜 등을 체포해 죽이고 모니노, 즉 우를 왕으로 세우니 그가 고려 제32대 우왕이다.    

우왕의 맏아들 창왕은 아홉 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하지만 고려 조정은 이미 위화도 화군으로 개경을 차지한 이성계와 조민수 일파의 손에 들어갔기 때문에 창왕은 아무런 힘이 없이 가짜로 몰려 쫓겨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려사 이야기 2 - 현종부터 의종까지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깊이 읽기 4
박영규 지음, 이동철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고려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된 것 같다.   그리고 왕들을 거의 대부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처음 들어본 왕은 조금 낯설었지만 그래도 재미있었다.    

현종이 죽고 덕종이 왕위에 오를 때 그의 나이는 불과 16세였다.   덕종은 현종의 맏아들로 1020년 5세 나이로 연경군에 책봉되었다가 2년 뒤에 태자가 되었다.   비록 16세의 어린 나이였지만 덕종은 너그러움과 섬세함을 바탕으로 훌륭하게 정치를 펼쳐 갔다.    

정종은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1018년에 태어났다.   그의 나이 17세에 덕종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고려 제10대 왕위에 올랐다.   자주성을 지키고 군사적 준비를 철저히 한 덕분에 고려는 동방의 강국이 되었지만 거란과 긴장된 관계를 유지하자 백성들은 더욱더 불안해졌고 드디어 거란이 공격해 오고 그때 정종은 백성들에게 천리 장성을 쌓게 했다.    

순종은 1083년 37세의 나이로 고려 제12대 왕위에 올랐다.   원래 병약했던 그는 문종이 죽자 슬픔과 상중의 피로함을 이기지 못하고 몸이 더욱 악화되었다.   그 바람에 고려왕 중에서 재위 기간이 가장 짧은 왕이 되었다.    

27세 나이로 1105년 10월 왕위에 오른 예종은 왕이 되자마자 조정 신하들을 새 인물로 바꾸었다.   나라 안이 어지러웠거나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는데도 조정의 중요 직책에 모두 새로운 인물을 앉힌 것은 북방의 여진족이 빠르게 세력을 키워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행이 북방의 여진족이 쳐들어 왔어도 쉽게 정벌할 수 있었다.    

의종은 20세에 고려 제18대 왕에 오르게 되었다.   의종은 어린 시절부터 오락을 좋아하고 시를 즐겼고 특히 격구에 몰입해 학문을 소홀히 하고 내시나 무장들과 어울려 시합을 하며 놀았다.   그래서 사실 둘째 왕자 경을 태자로 책봉하자고 인종에게 건의 했다.   인종은 처음에 거절했지만 왕후가 주장을 굽히지 않고 끈질기게 건의 하자 태자를 바꾸려고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려사 이야기 1 - 태조부터 목종까지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깊이 읽기 3
박영규 지음, 이동철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정말 고려에는 얽힌 이야기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는 오래 있지는 못하였으나 정말 많은 일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후고구려의 장수였다.   전쟁터에서 뛰어난 성과를 올리며 궁예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고, 마흔 살도 되지 않은 나이에 신하 가운데에서 가장 높은 시중자리에 오르며 승승장구했다.    

태조 왕건은 호족 융합을 위해 실시한 혼인 정책을 통해 29명의 부인에게서 25남 9녀의 자녀를 얻었다.   이는 뒷날 왕위 계승을 둘러싼 권력 투쟁의 불씨가 되었다.   태조 왕건 또한 예상은 했지만 강한 호족 세력을 묶어 두기 위해서 어쩔 수 없었다.    

혜종은 921년 정식으로 정윤에 책봉되어 왕위 계승자가 외었다.   936년 후백제 정벌 전쟁에 참가해 일등 공신이 되었고 943년 5월 태조가 죽자 왕위에 올랐다.   그러자 신명순성왕후의 자식들이 본격적인 권력 팽창 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박술희를 대광에 임명하고 왕규를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그들을 견제했다.    

경종은 토지 제도에 적극적인 참여를 했다.   고려 경제의 바탕이 농업인 만큼 토지 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토지를 힘의 기반으로 하고 있는 호족 세력의 반발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고려 초기부터 역분전 제도 등 몇 차례에 걸쳐 토지 제도의 정착을 시도했지만 실패를 거듭하고 말았다.    

성종은 960년 태조의 제4비 신정왕후 황보씨 소생 대종 욱과 태조의 제6비 정덕왕후 유씨 소생 선의 왕후 유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종은 왕위에 오른 뒤 고려의 중앙 집권 체제를 완성하는 사업을 구상했고 이를 행동에 옮겼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라사 이야기 3 - 문무왕부터 경순왕까지, 북 오디세이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깊이 읽기 10
박영규 지음, 이용규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신라의 왕에 대해 다시 한 번 알게 되었다.   역시 왕들을 모두 알지는 못하였고 모르는 왕들이 무척 많아서 고생을 조금 했다.   그래도 재미 있게 읽어서 다행이었다.    

문무왕은 무열왕의 맏아들로 이름은 법민이다.   그는 태자 시절에 이미 통일 전쟁에 나가 많은 공을 세웠다.  660년에 벌인 백제 정벌 전쟁에서는 무열왕을 대신해 신라 군을 직접 지휘하기도 했다.   그리고 661년 7월 무열왕이 세상을 떠나자 신라 제30대 왕에 올랐다.    

702년 효소왕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동생인 성덕왕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는 죄가 무겁지 않은 죄수들을 모두 풀어 주도록 하게 했다.   그리고 모든 관리의 등급을 한 급씩 올려 주도록 했고 1년 동안 백성들에게서 세금을 걷지 않게했다.   성덕왕시대는 정치와 외교 면에서는 안정되었으나 천재지번이 잦아 백성들의 생활은 매우 어려웠다.     

신라 제37대 선덕왕은 원래 김양상이라고 불렸다.   선덕왕은 왕위에 올라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백성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직접 지방으로 가서 주민들을 돌보았다.   하지만 선덕왕은 나이가 많아서 4년 만에 왕위에서 물러나려 했지만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785년 병이 들어 죽게 되었다.    

흥덕왕은 헌덕왕의 동생으로 826년 10월 헌덕왕이 세상을 떠나자 왕위에 올랐다.   그는 헌덕왕이 반란을 일으켜 애장왕을 죽일 때 큰 공을 세워 상대등 벼슬에 올랐다.   그가 상대등이었다는 것은 헌덕왕과 함께 반란을 일으킨 신하들 가운데 가장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선덕과 진덕에 이어 신라의 세번째 여왕인 진성여왕이다.   진성여왕은 남편 위홍에게 나랏일을 모두 맡겼다.   하지만 위홍은 진성여왕이 왕위에 오른 다음 해에 세상을 떠났다.   진성여왕은 나랏일을 제쳐 두고 젊은 남자를 애인으로 거느리며 노는 데만 정신을 쏟아서 나랏일을 온통 망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