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한 소년이 있었다. 그는 한 소녀를 사랑했고 그 소녀의 웃음 소리는 그가 평생을 바쳐 대답하고 싶은 문제였다. _22


소설 속의 소설 「사랑의 역사」

레오 거스키가 이디시어로 쓴 「사랑의 역사」
즈비 리트바노프가 스페인어로 번역 출간한 「사랑의 역사」
제이콥 마커스의 의뢰를 받아 샬럿 싱어가 스페인어에서 영어로 번역한 「사랑의 역사」

알마를 사랑한 레오, 그 사랑을 담은 시간의 흐름 속의 거대한 역사인 「사랑의 역사」
레오의 친구인 즈비, 로사의 사랑을 얻기 위해 ​레오의 「사랑의 역사」를 베끼고 결국엔 스페인어로 출판까지 하게 되고, 
다비드 싱어, 여행 중 헌책방에서 발견한 「사랑의 역사」를 읽고 연인 샬럿에게 주며 결혼해 「사랑의 역사」 속의 알마의 이름을 딸에게 지어준다.

책 제목처럼 거대한 사랑의 역사와 여러 가지의 사랑의 형태를 보여준다.
알마에 대한 사랑이 기록이 되어 시작한 이야기가 여러 인물들이 얽히며, 각자의 이야기들이 얽히고 설키며 연결되고 결국엔 하나로 합쳐지는 퍼즐같은 소설.

챕터별 레오, 알마, 즈비 시점이 반복 서술되는데, 교차되는 시점에서의 흐름이 조금씩 다 달라서 읽으면서 조금 헷갈렸다. 뒤에서는 알마 동생 버드의 시점까지 등장.
신기했던 건 레오 파트에서는 레오의 성격이 보이고, 알마 파트에서는 알마의 성격이 보이고, 즈비 파트에서는 즈비 성격이 보이는데, 서로가 자기 이야기를 진행하는데 있어 각자의 개성이 드러난다는 부분이 신기했다. 거기에 소설 속의 소설 「사랑의 역사」도 중간중간 삽입되어 있는데,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서 읽힌다는 것이 신기한 경험이었다.

마지막 <A+L> 챕터가 인상깊었던 점은 
왼쪽 면에는 레오, 오른쪽에는 알마. 책을 닫으면 둘은 만난다. 책을 열면 둘은 대화를 시작한다. _옮긴이의 글 中
읽으면서도 뭉클해졌는데, 옮긴이의 표현까지 합쳐지니 크흐!
 
왠지 이 책은 이렇게 보내는게 아쉬운 것 같다. 이번엔 여러 조각들이 하나씩 맞쳐져가는 재미로 읽었는데, 퍼즐이 맞쳐진 지금 다음에 다시 읽으면 새로운 느낌으로 읽을 것 같다. 웬만해선 재독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이 책은 다시 생각나서 재독할 것 같은 책이다. 

 
때로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해 생각한다. 때로 내 일생에 대해 생각한다. 적어도 나는 삶을 살았다. 어떤 종류의 삶이었을까? 하나의 삶을, 살았다. 쉽지 않았다. 그런데도. 참을 수 없는 것은 거의 없다는 걸 깨달았다. _3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