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톨로메는 개가 아니다 사계절 1318 문고 36
라헐 판 코에이 지음, 박종대 옮김 / 사계절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6년 여름 책따세 추천도서 - 문학

보통 제목을 보면 그 내용이 짐작되기 마련인데 이 제목은 도무지 무얼 말하는지 알 수 없었다.  화가 벨라스케스의 작품 '시녀들'을 보고 작가가 소설을 썼다니 정말 놀라웠다. 단지 그림에서 그 이야기를 만들어내다니!

 '시녀들' 그림의 맨 오른쪽 밑에는 개가 한마리 있다. 소설 속 주인공은 바로 그 개이다. 하지만 소설에는 사람으로 등장한다. 어리둥절했었다. 내용은 이렇다. 그 개는 사람이, 즉 바르톨로메가 개가죽을 뒤집어 쓴 것이고 화가는 진짜 개를 그렸을 뿐이다. 바르톨로메가 개가 된 이유는 철없는 공주 눈에 띄인 것 때문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중세 스페인에서는 난쟁이, 곱추 등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무척 심했나 보다. 깔보거나 무시하는 등 항상 괴롭힌다. 지금은 그런 것이 없지만 또 다른 문제, 즉 인종차별이다. 지금 많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백인, 황인, 흑인이 각자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씩 다르다.

 옛날 바르톨로메는 개가 될 수 밖에 없었다. 지금은 결코 그럴 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현대에 살아있음을 감사히 여긴다. 지금도 옛날처럼 문제가 많긴 하다. 하지만 옛날 보단 낫고 지금은 격동하는 사회이지 않는가? 세상은 점점 좋게 발전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보기 전엔 죽지마라 - 떠나라, 자전거 타고 지구 한바퀴 1
이시다 유스케 지음, 이성현 옮김 / 홍익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2006년 여름 책따세 추천도서 - 인문 사회

 7년 반 동안 87개국을 세계일주한 일본 청년의 이야기다. 지은이는 순전히 자전거로만 세계 일주를 하였다.

 지은이의 세계일주 이야기는 아주 재미있었다. 각 나라를 돌아다니며 겪은 에피소드에는 흥미진진함이 있었다. 카누를 타고 강을 내려오거나, 여행을 하다가 만난 사람들과 친구가 되고, 험한 지역을 가다가 죽을 뻔한 경험까지 있다. 특히 다양한 사람들 이야기가 좋았다.

 지은이는 세계최고를 직접 확인해보자는 것을 목적으로 세계일주를 떠났다. 세계 최고가 유적이든, 자연이든, 사람이든 상관 말고 찾은 것이다. 그렇게 해서 마야문명의 유적지 티칼,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어머니 등을 찾은 것 같다.

 지은이의 여행이 너무 재미있게 느껴져서 나도 자전거여행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기차나 비행기는 좋을 것이다. 자전거 여행은 무척 힘이 들고 위험하기도 할테지만 나도 꼭 해보고 말테다.

 세계 일주를 한다면 나는 무엇을 위해 여행을 할까? 나도 지은이가 찾지 못한 세계 최고를 찾아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릴라는 핸드폰을 미워해 - 아름다운 지구를 지키는 20가지 생각
박경화 지음 / 북센스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2006년 여름 책따세 추천도서 - 과학

책 제목을 보고 도무지 이해가 안 갔다. 심지어 책표지에 그려진 고릴라는 핸드폰을 들고 씩 웃고 있었다. 광고에서도 고릴라가 엄마 찾는데 뜬금없이 핸드폰을 미워하다니? 그 이유는 책을 읽고 알게 되었다.

 핸드폰이나 노트북 등을 만들 때는 탄탈이라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 탄탈은 콜탄에서 나오는데 이 콜탄은 지구상의 마지막 고릴라 서식지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에 많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뒤 280여 마리의 고릴라와 350마리의 코끼리는 단 몇 마리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버젓이 잘 사용하는 핸드폰은 야생동물들의 피와 살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에는 그 밖에도 북극곰, 산새, 고래, 애완동물 등에 관한 것들과 지구상의 불쌍한 이웃들, 또 지금의 환경문제, 우리의 생활살림에 대해 나왔다. 나는 조금은 충격적인 지금 지구상의 환경문제에 대해 알게 되었고 동물 시장의 잔인한 행각을 알게 되었다.

 책은 상당히 실용적이라서 절약법도 나와 있다. 안 쓰는 콘센트는 뽑고 보일러의 온도도 조금씩 낮추는 것 등이 있다. 나는 솔직히 모두 지키기는 힘들지도 몇 가지 간단한 것들은 꼭 지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쥐 I
아트 슈피겔만 지음, 권희종 외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199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생 때 학교도서실에 '쥐'라는 책이 있었다. 그때 한번 훑어보고는 재미없는 책인줄 알고 그냥 덮었는데, 이제 보니 굉장히 재미있었다.

2차 세계대전, 나치의 유태인 학살 때 살아남은 사람의 이야기다. 실제 이야기를 써서 굉장히 실감났다. 또 유태인 학살이 있었다는 것만 알고 있었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잘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 일어난 일 전면을 알게 되었디

유태인을 쥐로, 독일인을 고양이로 그려 나치와 유태인의 관계를 쥐와 고양이로 표현한 데 대해 작가의 창의력에 경의를 표한다. 그림체도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스무 살, 아니 만 열아홉 살 사계절 1318 문고 38
박상률 지음 / 사계절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도서실에서 빌려오셔서 강력 추천하며 읽으라고 압력을 불어 넣은 끝에 읽게 되었다. 재미는 없었지만 재미 이상의 감동을 주는 책이었다.

5.18때 목숨을 잃은 대학생의 어머니와 그 어머니를 보는 입장에서 대학생을 '너'라고 부르는 사람이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다. 이런 독특한 설정이 더할나위 없이 지루함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이 방식이 좀 더 진실을 잘 말해주는 것 같다.

스무 살의 대학생은 집안이 어려워 오직 먹고 살 걱정만 하는 청년이다. 그래서 민주화 운동이니 시민군 같은 건 전혀 접하지도 자세히 알려고도 하지 않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총에 맞아 죽었다는 것이 약간 의외였다. 그리고 아무리 민주항쟁의식으로 투철하게 단결한 광주에도 이런 사람이 있거나 반대하는 사람도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났다. 아무리 좋은 뜻이라도 관심이 없거나 반대하는 사람은 어딜가나 꼭 있으니까 그건 당연한 것이다.

자신의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살아 있다고 생각하며 아들을 찾아 이곳 저곳 가보는 어머니의 모습은 아들을 잃은 슬픔을 처절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문학으로 만나는 5.18
    from 파피루스 2008-05-19 07:48 
    다른 지역보단 5.18을 가까이 느끼며 자랐을 광주의 초등학생들은 5.18을 얼마나, 혹은 어떻게 알고 있는지 궁금했다. 해마다 5.18기념일이면 학교에서 교육하지만 아이들이 체감하는 5.18의 실체가 궁금해서 정의를 내려보게 했다. 아이들에게 5.18의 실체와 정신을 제대로 알려주는 것도 어른들의 몫이라 생각해, 나역시 작은 역할이라도 담당하려고 5월 이야기 한 꼭지라도 들려주고 풀어내는 커리큘럼을 짠다. 작년에는 3학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