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홀 민음의 시 243
허형만 지음 / 민음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 이리 묘미가 많은 지 몰랐다. 단어 곳곳에  묘한 음색과 뉘앙스가 있다는 걸 서울에서 태어난 토박이가 40년이 되가도록 몰랐다.

다른 나라의 말들처럼 시끄럽고 요란하지 않은  한 단어의 몇개의 음절속에 단아한 뚯이 있다.

 우리가  쓰는 언어에는 한국인 특유의   수수함과 단단함이 배여있다.

 우리나라 말의 백미는 음운에 있다고 해야할 것이다.서양의 문학과 비교하자면 상징주의처럼 요란하지않고 오히려  자연주의에 가깝다. 정갈하고 소란스럽지않고 ..그냥 숲 한가운데 들어온 것같은 느낌의 글들이랄까..

모국어라 그런가 ..그의 편안함은 휘황한  영어나 한문처럼 지나치게 짜임새있는 글들이 만들어내는 운치와는  다르다.국어가 별 도움이 안된다는이유로 의도적으로 국어시간을 폄하가고 무시하는 건 우리한국인의 정신을 훼손하는 어리석은 일이다.영미권에서도 영어를 국어로 소중히 대하고 일본만해도 자신들의 와카나 고전을 얼마나 자긍심갖고 가르치는데 분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시인의 문장들이 서늘한 샘의 물줄기같이 와 닿은다. 서정적이고 아름답다는 말로 표현되지 않는다.

복잡한 도시생활에서 평온한 들판으로 데려간 느낌이랄까? 
 삶을 대하는  시선이 시에는 삶이 주는 기쁨뿐만 아니라 때로는 고독과 비애가 부처님앞에서도 나타난다. 역시 삶이란 건 기쁠 수만도 행복할 수 만도 없나보다.

돌아오는 설연휴에 요란하게 해외로 멀리 떠나지말고 조용히 텅빈 집에서 시한권을 끼고  고즈넉하게 자신을 돌아보길 바란다.자연인이라면 가슴이 시원해지는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유럽 근현대사 - 제국 지배에서 민족국가로
오승은 지음 / 책과함께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현대에도 유고사태와 같은 분쟁이 생기는지 오랜 오슬람과 제국주의의 지배하에서 파생된 동유럽의 역사와 민족이 왜 복잡한지 잘 설명하고 있네요.한국과는 거리거 있는 먼 나라들이다보니 관심이 소홀한데 지구촌시대에 국제무대에서 이들의 역사와 문화를 알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핀 - 파울리, 배타 원리 그리고 진짜 양자역학
이강영 지음 / 계단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론 물리학자들이 천재라고하지만 그들의 양자역학의 발전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네요.일직선으로가는 발전은 없다더니..과학이란 결국 자신과 다른 이론과 학설도 포용해야하는 학문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페인 내전,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
애덤 호크실드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페인도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군요.우리나라의 6.25전쟁과 유사하네요.피카소의 게르마니아가 생각납니다.사상과 이념의 차이가 더 정확히 말하면 관용의 부재가 이런 비극을 불러오는 것에대해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의 노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진왜란은 가장 비극적  전쟁이다.왕이  왜인들에게 쫓겨 평안도까지 피난갔었으니..하지만 냉정히 생각해보면 그런 화는 선조와 당쟁에 빠진  조정대신들이 자초한 것이었다.광해군이 아직   세자도 아닌 시절에  피폐해진 민생을 수습하는 동안 애비는 뭘 했나?  왕위에 오른 후 선조는 민생은 생각지않았고 서인인나 동인이란  조정대신들과 당재만 어울렸지  대책이 없었다.고생하는 백성이나 인육을 먹고 전염병에 떼죽음하여 나가는 군졸들.,심지어 얼어죽고 굶어죽는 민초들..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보면  전쟁의 참혹함이 어떠했는 지 알 수있다.
   압록강까지 가  피신해 명나라로 망명이나 하겠다는 시나 지을만큼 군주로서의 책임감이 없었다..이순신이 전장에 나가 죽기살기하는 동안에 당쟁에 허송세월하는 조정에서 한 일을 개탄한 내용이 많은데 무릇 군주는 백성을 자식같이 아끼고 살펴야한다고 했거늘 선조는 대신들보다  더 뻔뻔하고 유유부단했다.
   자신이 책임져야되는  전쟁인데  백성과 장수들에게 책임을 떠밀었다.소설에 굶주리는 말과 병사들의 고통을 보면 눈물난다.양반관료들은 굶지는 않지만 국토가 유린되는 사이 아사하는 백성이 부지기수였다.
그나마 유성룡이 현실적인 인간이어서 수미법이나 노비면천을 주장한 것이다.왜란의 와중에 백성이나  민생은 안중에도 없는 군주뿐 아니라 유학자사대부인 조정관료들이 이순신에게 취한  자세를 보면 얼마나 약자에게  매정하게 대하고 권력에 비굴했는지 알수있다.
현 대한민국의 감옥에 간 ,혹은 앞으로 갈 대통령들처럼 무능한 군주가  계교와  사치와 향락,제 자신의 안위에는 비상하면서  국가의 운영이나  의무는 통감못한다.
유교의 문제점이  아랫사람은  발언하나 못하고 상명하복하는  군주독재정치를 옹호하는 것이다.구원군을 보내라 ,철이 없고 활이 없다는데도 들은 척도 않고 출전만 고집하는 돌머리들...
  임진왜란은 피할 수 있었던 참혹한 전쟁속에서 군주의 자질이 얼마나 중요한 지 은유적으로 설명했다.선조가 이순신같은 인물이었으면  그정도로 참혹한 전세는 되지않았을 것이다.

칼의 노래 곳곳에 주인공이 군주에 대한 불신을 자주 드러낸다.변덕스럽고  이기적이고 오만한 군주...주군을 잘못만난 명장의 비애가 소설에 드리워져있다.현재에도 이런 인재가 없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