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이 핀다 - 자연에서 찾은 우리 색 ㅣ 보림 창작 그림책
백지혜 글.그림 / 보림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꽃을 소재로 하는 제목이 끌려 집어들었는데 꽃들속의 색깔묘사가 서정적이랄까요.내용이 심미적이면서도 아이들눈높이에 맞춘다고나할까..책내용이 사시사철의 예쁜 꽃들이 소재가 된 이야기라 색감도 화려하고 예쁜 카드같군요.뿐만 아니라 내용이 아이들뿐만아니라 어른을 위한 미술동화같군요..작가의 그림과 색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동심을 돌아보게하네요.봄이오면 꽃은 피겠거니 식상해졌었는데..
이 동화는 아이들에게 순수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암시하네요.전통적으로 우리민족은 오방색을 좋아했는데 모두 자연에서 얻은 색들입니다.하늘과 땅의 조화를 홍청흑백황으로 보았는데 음식이나 옷에도 오정색을 중요하게 여겼지요.신선로나 색동,복주머니의 색이 다채로운 것도 이때문이랍니다.
작자가 그얘기를 전달하네요.
-빨강은 불, 불꽃, 해를 상징하는 색이에요.
우리 조상들은 세상을 이루는 기본 색상을 빨강, 파랑, 노랑, 검정, 하양, 다섯 가지로 보았어요. 이를 오방색 또는 오정색이라 하는데, 그 가운데 빨강은 생명을 낳고 지키는 힘, 여름, 남쪽을 뜻해요. 빨간색에는 나쁜 귀신을 쫓는 힘도 있대요. 아이가 태어나면 붉은 고추를 대문에 매달고, 부적을 쓸 때 붉은 글씨로 쓰는 것도 다 그런 까닭이랍니다.
동백은 제주도나 따뜻한 남쪽 지방 바닷가에 많이 자라는 늘푸른떨기나무예요.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짙은 빨간 꽃 또는 흰 꽃이 탐스럽게 핍니다--.
.색에 대한 자세한 설명히 만족스럽네요.
검은 송악열매라던가 꽃마리란 들꽃은 나도 처음 알았네요.자연에 푸른색꽃이 있다니..
붉은 동백 ,분홍빛 철쭉,노란 개나리,자줏빛 모란 ,하얀 찔레꽃..동양적인 꽃들도 예쁘기로는 서구의 꽃들에게 지지않네요..하물며 흔한들꽃과 야생화들도 저마다의 아름다움을 뽐냅니다.예쁜 꽃들로 가득찬 책이라 여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책이네요.특이한 그림책인데 동양적인필치로 수묵화를 닮은 듯한 그림인데도 색색의 꽃들로 가득 찬 아동화라 ...이색적인 필치인데도 색감이 화려해 상큼하네요.꽃에 관심없는 남자아이들도 색만큼은 흥미를 보이네요.
미술에 문외한이라 기법이 특이하다고 여기면서도 신기하다고 여겼는데 작가가 사용하는특이한 화법이 배체법이라는 기법이란걸 처음 알았네요.. 흔치않은 동양화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데 종이의 뒷면에 먼저 물감을 가볍게 칠해 유화의 무겁거나 탁함대신 수채화처럼 투명해 보이게되고, 사물의 색이 앞면으로 우러나오며 더 자연스러운 색을 보여주는는 기법이라네요. 여기에 작가 특유의 그림솜씨가 더해져 다른 동화책의 삽화에서 느낄 수 없는 감상을 느껴 볼수 있네요.살아있는 꽃들을 책속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네요.
저자는 물감도 그냥 제조한 화학물감이 아니라 전통법 그대로 따라 천연재료로 만들고 빻고 채집하고 원형그대로 만드는 등 전통대로 옛방식 그대로 색을 만들며 그 느낌을 살리기 위해 비단 위에 그림을 그렸 답니다. 화학약품의 물감에서 느껴지지 않는 부드러움함과 자연스러움이 느껴집니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화선지나 천의 결같은 것이 비쳐집니다.정성이네요.아이들 책 한권 내기가...
미술에 관심이 없는 아이들도 꽃과 자연에 마음이 닿으면 색감과의 교감이 열립니다.매일 꽃과의 교감이 신기한 일처럼 생기면 정말 좋겠군요. 호기심을 따라 펼친 책에서 아이가 꽃들과 친구가 되다니 신비한 일이었네요.전통적인 우리의 염색이 왜 서구의 색들과 다른지도 이해가 되네요.자연에서 뽑아낸 색들이라 그럴까요?왜 신세대들이 전통염색이나 색들을 괄시하는지 이해가 안돼요.
꽃을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네요.꽃속에 마법처럼 생명있는 존재의 신비함과 색들의 매혹들를 발견하고 아이들이 매료됩니다.
동화책의 분위기가 먼 옛날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 듯합니다. 꽃들의 화려한 색들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할 동화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