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아들러의 말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이와이 도시노리 엮음, 박재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동체 감각을 키우는 방법 중 하나가 우정이다.

우리는 우정을 통해 상대방의 눈으로 보고, 상대방의 귀로 듣고, 상대방의 마음으로 느끼는 방법을 배운다. - 인생 의미의 심리학 下


초역 아들러의 말, 유유히 떠있는 조각 구름과 새들이 줄지어 날아가고 있는 푸른 하늘을 닮은 책표지가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알프레드 아들러,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이며, 아들러 심리학의 창시자이다.

병약했던 어린시절을 보낸 아들러는 의사가 되었고, 군의관으로서 제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경험으로 깨달은 경험이 아들러 심리학의 바탕이 되었으며 인간을 성장시키는 교육에 대한 관심도 갖게 되었다.

프로이트, 융과 함께 현대 심리학의 3대 거장이라 불리는 아들러는 교육이나 자기 계발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아들러는 미움받을 용기가 베스트 셀러가 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역시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인간 관계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인간 관계의 고민, 어떻게 살아 갈 것인가, 공동체 감각에 대하여, 용기, 배움과 실천에 대하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등 빠르게 변화해가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들려주는 아들러의 말은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한 줄의 선을 그으려 할 때 목표가 되는 최종 지점을 보지 않으면 끝까지 선을 그릴 수 없다. 그와 마찬가지로 욕망만으로는 어떤 선도 그을 수 없다. 즉, 목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미래의 목표를 설정해야만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 목표를 보고 걸어가라


특히 나의 관심을 끌어던 것은 '일한다는 의미에 대하여'와 '공동체 감각에 대하여'였다.

행복, 성공에 대한 의문은 꼬리를 물고 이어져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궁금증이 되었다.

나의 머릿속에서 맴돌며, 수시로 나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 되었던 것이다.

2024년이 시작되었고, 벚꽃이 눈부시던 봄, 에어컨 없이 지내긴 힘들만큼 무더운 여름을 지나 눈깜짝할 새 9월을 맞은 지금,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볼 수 있도록 조언을 해 주는 책이 찾아온 것이다.


아들러의 심리학을 배울 때 가장 먼저 공동체 감각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한단다.

인간은 혼자 살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했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무리를 이루어 살면서 진화하고 발전해 온 기나긴 인류의 역사를 생각해 보게 했다.

사람은 그림인 동시에 그 그림을 자신만의 화풍으로 그리는 예술가(화가)이기도 하다라는 말에 무한 공감하면서 내가 그려나갈 미래, 나의 모습을 그려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데 삼촌.
나는 오늘의 첫 번째 의문을 기억해 냈다.
"왜?"
"이 서점 괜찮아요? 손님이 너무 없는 데다가 책을 사도 싼 것만 사 가고……………."
외삼촌은 유쾌하게 소리 내어 웃었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스로도 놀랄 정도로 졸렸다. 아마도 현실에서 도피하려고 몸이 그렇게 반응했을 것이다. 나는 이불 속에 들어가면 바로 곯아떨어졌다. 나 혼자만의 우주 공간인 내방에 틀어박혀 몇 날 며칠 동안 잠만 잤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0909 산막이옛길 걸었어요.
날씨가 더워서 쉬엄쉬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래도 단독주택 - 아파트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단독주택에 살아 보니
김동률 지음 / 샘터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것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밤하늘의 별만큼이나 수많았던 이야기, 부르던 노랫소리, 우리 형제들이 다투던 울음소리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온 가족이 웃고 고함지르고 이야기를 나누던 옛집에는 인적도 없이 정적만 가득하다. 48-49


#협찬도서 

그래도 단독주택, 한동안 로망이었던 단독 주택에 관한 이야기를 상상하면서 선택한 책이다. 

따사로운 햇살이 드는 마루, 계절마다 예쁜 꽃이 피는 화단, 상추와 정구지, 파가 자라는 조그마한 텃밭, 골목길을 돌아나서는 산책길, 저 멀리 보이는 푸른 산.....

어릴 때 주택에 살았던 기억, 할머니 댁에 가던 기억은 주택에 대한 향수, 추억, 낭만을 꿈꾸게 했지만, 여러모로 편리하고 살기 좋은 아파트 살이에 익숙해진 지금은 솔직하게 주택에 사는 데 자신이 없어졌다. 

대신에 건축탐구 - 집이란 TV프로그램을 즐겨본다. 자신이 살고 싶은 집을 짓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보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한 것이다. 


주택에 살았던 기억은 물론 지인들의 경험담을 들으면서 단독주택에서 살면서 누리는 행복, 즐거움도 크지만 그만큼 감수해야 하는 부분도 많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주택에 대한 미련을 조금씩 떨쳐내게 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주택에 대한 미련은 남아 있나보다. 목을 보는 순간, 덥썩 손을 내밀게 했던 책이었다. 

글을 읽는 내내 내가 직접 살면서 겪은 듯 생생하게 다가오는 이야기들이 재미있었다.

환한 웃음소리, 빗방울 듣는 소리, 문득문득 추억에 젖고, 잡초와 씨름을 하고, 떠들석하게 김장을 담그는 모습.....


단독주택의 사계절, 작가가 들려주는 유쾌한 에피소드들에 웃음보가 터지기도 했고, 공감하고 추억에 젖어들게도 했다. 

마당이 있는 집, 벤치에 혼자 앉아서 정원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시간, 꽃들이 피어나는 정원, 벽난로, 김장, 나무 등 다양한 에피소드에는 하나같이 문학적인 감성이 묻어나고 있었다. . 

그림이나 영화의 한 장면이 떠오르고, 흥얼흥얼 정겨운 노래가 귓가에 흐른다. 박목월의 시를 읊고, 샛노란 은행잎이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이 눈앞에서 아른거린다.


우리집은 우리 가족들이 함께 살았던 기억들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세월의 흔적은 피할 길이 없지만 곳곳에 엄마의 정성스런 손길이 닿아 반짝거리는 집이다. 

가끔씩 꿈을 꾼다. 마루에 걸터앉아 파란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나, 함께 둘러 앉아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 꽃을 피우고 있는 우리! 어쩌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