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마지막 나무를 쓰러뜨렸나 - 붕괴 직전의 지구를 구하는 가장 스마트한 경제학
거노트 와그너 지음, 홍선영 옮김 / 모멘텀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데이터로 보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여러 현상들로 보나 지구의 환경피해 문제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무서운 것은 지구의 자정능력이 한계점을 넘어서게 되면, 그때는 인력으로는 그것을 도저히 막을수 없게 된다는 점입니다. <누가 마지막 나무를 쓰러뜨렸나>라는 이책의 제목은 숲이 무성하던 아름다운 이스트섬이 환경파괴로 인해 돌이킬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린 사례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환경파괴는 파괴한 당사자만이 아니라 우리모두가 피해자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것은 환경학자들이 아니라 경제학자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이 환경 파괴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면, 결국 파괴의 주체는 인간이며, 인간의 돈을 벌기 위한 경제활동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따라서 경제학적인 면에서 환경문제에 접근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타당하고 또 합리적이라고 보여집니다. 설득력이 있습니다.

 

이미 '환경경제학'이라는 분야는 최근에 가장 주목받는 분야중 하나인 듯 합니다. 그리고 이런 환경경제학을 연구하는 환경경제학자 중 상당수가 바로 경제학자 들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경제학이 어떻게 작금의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만, 일단 책을 읽어보면 그동안 지구를 살리는 수많은 정책들을 고안해낸 것이 바로 다름아닌 경제학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환경론자들의 환경파괴에 대한 경고나 환기가 사람들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수는 있어도 실제로 지구를 살리는데에 얼만큼의 기여를 할 수 있을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듭니다. 

 

인상깊은 부분은 이것입니다. 공익을 내세워 개개인의 양심에 호소하고 자율의지에 맏길것이 아니라, 인적, 지적, 재산자원처럼 환경과 자연을 자산의 관점에서 접근하자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현재 큰 효과과 있다고 보여지는 탄소 배출권과 같은 정책입니다. 어족자원의 조업량에 한계를 두는것도 같은 맥락이겠지요. 자연의 자정능력 내에서 환경파괴의 제한을 두고, 그 파괴할 권리를 사고 파는 것입니다. 이 경우 단순히 무분별한 환경파괴를 막는 결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업, 혹은 개인 스스로 환경파괴를 줄이면서도 경제활동을 할수 있는 방법이나, 보다 자연친화적인 작업방법을 찾아내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고무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감동적이기까지 합니다. 

 

그동안 수많은 환경문제를 해결해거나 개선의 실마리를 찾아내 온 것이 환경학이 아니라 경제학이라면, 환경문제에 대한 해답은 역시 경제학적인 접근에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멀리 보지 않아도 쓰레기 종량제가 거두고 있는 성과등이 바로 그렇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