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즈칸 3 - 산속에 묻은 뼈 칭기즈칸 3
콘 이굴던 지음, 김옥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2천 페이지에 걸친 대장정의 마지막입니다. 대하역사소설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방대한 이야기이고, 덕분에 다 읽어내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길었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몰입해서 단숨에 내쳐 읽어내려갔던 때문이겠지요. 3편의 이야기중 마지막 편인《산속에 묻은 뼈》에는 어린 테무친이 고난을 딛고 일어서 대 칸으로 등극하고 서하와 금나라를 정복하며 악명을 떨치기 시작한 그 후의 이야기입니다. 위대한 칸이 정복의 대상을 넓혀 이슬람 문화권으로 진출하는 과정과 그가 눈을 감는 순간까지를 담고 있습니다.

 

항복과 조공을 요구하며 보낸 사절을 아랍황제가 번번히 살해해 버리자 분노한 칭기즈칸은 중국 대륙 내에서 정복 전쟁중이던 전력을 돌려 아랍을 향합니다. 코끼리 부대를 보유하고 있던 아랍의 군사력도 결코 약하지 않았지만 용맹한 몽골의 기마대 앞에서는 결국 무릎을 꿇고 맙니다. 황제를 잃고 뿔뿔히 흩어진 와중에 왕자는 칸을 향한 복수를 준비합니다. 마치 어린 테무친이 그랬던 것처럼. 그런 정복 전쟁과는 별개로 자신이 떠난 이후의 몽골에 대해 고민하는 나이든 칭기즈칸의 고뇌가 또한 그려져 있습니다.

 

칭기즈칸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면 많은 사료와 함께 잘 설명해주고 있는 역사서들도 많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의 인간 됨됨이나 성장과정, 가치관, 끊임없이 영토를 확장해 나가는 강박적인 모습에 대한 이유를 당시의 시대상을 통해 두루 체험해 보는 경험까지 제공해 주지는 않습니다. 역사소설이라는 것이 바로 그런 역할을 하는것이겠지요. 삼국지가 없었다면 우리나라사람들이 중국 역사의 한부분을 그렇게까지 꿰뚫고있지는 못했을거라 생각합니다. 사건에 치중한 역사서와는 달리 그 시대를 살았던 인간이, 그리고 그들의 고뇌와 삶이 있기 때문에 더 친근하게 다가설수 있는 것일테지요.

 

칭기즈칸의 리더쉽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유목민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동안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들이 그의 카리스마가 형성되는 데에 큰 역할을 한 부분도 있겠지만, 인재를 알아보고 내편으로 만들고 보듬어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게 만드는 것은 결코 유목민의 리더에게만 요구되는 조건은 아닙니다. 많은 조직의 리더들이 자신의 위치를 망각하고 공과사를 구별하지 못해 일을 그르치거나 차별대우로 인해 공분을 사는일이 허다합니다. 살아가는 시대는 다르지만 지금의 수많은 리더들이 이런 칭기즈칸의 리더십을 보면서 틀림없이 영감을 받을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