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의 연애 심리학 - 이성을 끌어당기는 신체언어의 비밀
토니야 레이맨 지음, 강혜정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전세계 어디를 가도 바디 랭귀지는 공통이다. 후천적으로 습득하는 언어만이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감정을 표현하고 읽어내는 방법을 안다. 언어를 모르는 동물들이 의사소통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 일 것이다. 이성을 유혹하는 동물들의 구애의 몸짓이 교육의 부산물이 아니라면 인간이라고 다를 리 없다. 우리의 유전자에도 이성에게 나를 어필하고 상대를 허무는 방법이 이미 입력되어 있다.

 
영 별로인 여자가 의외로 남성들에게 둘러싸여 있는가하면, 멋진 여자가 그다지 연애와는 거리가 먼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이성을 유혹하는 신체의 언어다. 전자는 남성들을 유혹하는 몸짓 언어에 능통한 경우일 것이다. 본능적으로든 의도적으로든 남성들의 호감을 이끌어내는 동작이 몸에 배어있을 것이다. 후자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줄곧 정 반대의 시그널을 보내서 상대를 밀어내고 있는 가슴아픈 케이스 일 수 있다. 감정표현에 능숙하거나 서툰 사람이 있듯이, 이성을 유혹하는 신체언어에도 스킬이 있다.

 

평소에 이성을 대하면서 무의식적으로 해왔던 습관들이 얼마나 바보같은 짓이었으며, 의도와는 다르게 상대를 멀어지게 하고 있었는가를 알게 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었다. 다행히 이제라도 같은 실수를 반복치 않을 수 있게 된 것은 어쩌면 인생이 뒤바뀔지도 모를 행운이라 할 수 있다. 이성을 유혹하는 남녀의 신체 매커니즘과 그 동작 하나하나가 불러오는 후폭풍을 알게 되는 것은 재미있는 경험이었다.

 

구애의 몸짓은, 늦은 나이에 아랍어를 배우는 것처럼 복잡한 것이 아니어서 좋다. 그저 살면서 틀어진 자세를 교정하듯 잘못된 습관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만으로도 지금까지의 구애방식의 오류를 털어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유혹의 매커니즘을 교묘하게 이용할 줄 아는 한마리의 여시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것도 그리 어려울것 같지는 않다.

 

연애와 유혹의 핵심은 결코 눈길을 끄는 외모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성을 끌어당기는 몸짓 언어다. 앞니에 심한 충치가 있어서 활짝 웃을수 없는 정도라면 치명적이겠지만, 그렇더라도 그건 치과를 다녀오면 가뿐히 해결될 일이다.

 

한편, 조각같은 외모의 남성을 보면서 아깝다고 느끼면서도 이상하게 끌리지 않는 이유가, 자신과 유사한 유전자의 상대임을 알리는 호르몬의 경고라는 사실이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