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의 심리학 - CIA 거짓말 수사 베테랑이 전수하는 거짓말 간파하는 법
필립 휴스턴 외 지음, 박인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대가 거짓을 말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방법중에 흔히 알고 있는 것들, 예를 들자면 표정의 변화라던가 특정 행동의 반복과 같은 것들은 엄밀히 말하면 그 방법이 획일적이라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도 아니고 예외가 너무 많다. 의심은 되지만 거짓으로 확정하기에는 너무나 위험한 방법이라고나 할까.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는 것처럼 안면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 하나까지 캐치해서 "범인은 바로 당신!"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많은 책에서 말하고 있는것과 달리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이다.

 

그렇다면 CIA 거짓말 수사 베테랑이 전수하는 검증된 거짓말 탐지법이란 무엇일까?

일단 상대와의 대화를 유도하고 그 대화 속에서 거짓말이 드러나는 순간을 간파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거짓말이 드러나는 징후들과 상대가 무의식적으로 보내는 거짓말 신호들을 포착한다. 추정질문이나 미끼 질문을 통해 스스로 진실을 털어놓게 만들수도 있다. 이것은 크고 작은 범죄상황이나, 혹은 일상에서 거짓을 밝혀내야 할 다양한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 기술이기도 하지만, 그 범주를 넓게 가져가면 토론이나 협상에서의 팩트체커로서의 고단수의 대화법에 관한 내용이 될수도 있을 듯 하다.

 

최근에는 SNS, 인터넷 상에서의 유언비어나 거짓기사, 거짓선동이 난무하고 있는데, 표정이나 상대의 반응을 관찰해서 거짓을 판별해 낼수 있다고 해도 이런 경우에는 거의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다. 얼굴을 마주하지 않은 상대와의 설전 속에서 거짓을 판별해내고 우위를 점하자면 역시 대화를 통해 검증하는 기술을 익히는 수밖에 없다.

공식이라고도 할 수 있는 패턴들은 있지만 단지 그것을 숙지하는 것만으로 인간 거짓말 탐지기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일상 속에서의 보다 능동적인 관찰과 연습이 필요할 듯 싶다.

 

무엇보다도 책속에서 말하는 편견과 반복에 의해 거짓을 진실이라 믿게 되는 경우는 무섭다. 만약 상대가 선동가나 협잡꾼이라면 더욱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