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계 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코너 우드먼 지음, 홍선영 옮김 / 갤리온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리브해의 니카라과의 해안마을에서는 휠체어나 지팡이에 의지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 바닷가재를 잡기 위해 제대로 된 장비 하나없이 심해에 들어갔다가 잠수병으로 불구가 된 사람들이다. 지금도 이곳의 많은 젊은이들은 스쿠버다이빙 한계 수심 밑으로 하루에도 십 여차례씩 잠수를 감행하고 있다. 목숨을 걸고 바닷가재를 잡지만 중개상으로부터 받는 돈은 그리 많지 않다. 그래도 이들에게는 다시 맨몸으로 바다에 뛰어드는 것 말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최근 공정무역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공정무역이란 지금까지 부당한 처우를 받는 일이 많았던 아시아나 아프리카, 중남미등의 도상국가의 생산자에 대해서 적정 댓가를 지불하고 동시에 산업발전을 위한 인프라를 지원하며, 장기 계약에 의한 수입 안정, 아동노동의 금지나 건강 보험의 부여, 노동조합의 설립 보증과 같은, 즉 인권을 보장하는 공정한 거래를 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 공정무역에 대해서는 그야말로 공정한 가격으로 생산자와 직거래를 하는 비즈니스 본연의 자세이며, 세계에 공헌하는 긍정적인 방법이라는 막연한 인상을 가지게 되지만, 실제로는 어떠한 구조로 돌아가고 있는 것일까?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서 애널리스트 출신의 저자 '코너 우드먼'이 전작 <나는 세계일주로 경제를 배웠다>에 이은 두번째 프로젝트로 공정 무역의 대상이 되는 나라들을 직접 찾아가 취재했다. 니카라과의 바닷가재 잠수부들 이야기를 시작으로, 탄자니아의 커피농장, 아프가니스탄 농민들의 양귀비 재배, 코트디부아르의 면화재배, 콩고의 탄광 등등, 치안이 불안정한 곳 까지도 가리지 않고 찾아가 철저 취재. 공정무역이라고 하면 왠지 어려운 이야기일것 같은 느낌이지만, 딱딱한 경제 이론대신에 저자는 현장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공정무역의 현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리포트하고 있다.

 

 

공정 무역이라는 것에 대해서 여러가지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이기도 하지만, 저자가 어떻게 취재지를 선택하고 어떤 사람과 만나고, 무엇을 바라보고 느꼈는지가 상세하게 쓰여져 있기 때문에 마치 기행문을 읽고 있는 것 같은 기분도 든다. 인상적인 부분은 세계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기생충처럼 공정무역의 장해물이 되고 있는 중국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

열강들이 약소국을 착취해 온 근현대사 속에서 오랫동안 소외되어 있던 것을 이제라도 보상받겠다는 듯이, 자국의 이득 앞에서 상대국 국민들의 인권이나 윤리적인 부분은 일절 고려대상이 아닌 중국의 행태에는 분개하게 된다.

 

공정무역 운동이 가장 활성화된 영국에서 공정 무역 마크가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실제 도상국 국민들의 삶의 질의 향상과는 무관계하게 일종의 상품가치를 높여주는 또다른 브랜드로서 전락해 버린 아이러니를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제시에 그치지 않고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진정한 의미의 공정무역이 될 수 있을지 그 모범사례를 또한 제시하고 있다. 눈 앞에 단기적인 이윤에만 치중하지 말고 인간을 먼저 생각할 때 비로소 장기적으로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바람직한 무역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깊이 통감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