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밀사 - 일본 막부 잠입 사건
허수정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통신사가 왕의 밀명을 받고 일본으로 건너가 제2의 왜란을 막아낸다는 보기 드물고 어쩐지 가슴 뛰게 만드는 설정 때문에 첫눈에 반해버린 소설이다. 게다가 최근에 국내 작가들에 의해서 쓰여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들, 특히 팩션류에 대한 만족감이 컷던 탓에 기대감이 최고치인 상태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조선의 17대 왕인 효종. 조선통신사가 일본으로 떠나기 전날 밤에 효종은 홍문관 교리인 남용익을 편전으로 불러들여 밀서를 전한다. 밀서를 전하는 이유는 일본내에서의 권력 다툼때문에 자칫하면 일어날지도 모를 왜란을 미리 막기 위하고자 함이다. 그런데 조선통신사 일행이 교토에 도착하자마자 사건이 터지고 만다. 극진한 환대를 받으며 술자리를 벌이고 난 다음날, 쇼군의 무사인 기요모리가 목이 잘린 시체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기요모리와 마지막에 술을 마시며 언쟁을 벌였던 남용익이 범인으로 지목되어 억류되기에 이른다. 절체절명의 위기. 이에 남용익은 수행역관인 박명준에게 왕의 밀서를 건낸다. 그리고 박명준은 계략에 빠진 남용익의 누명을 벗기기 위해 진실을 밝혀내기 시작한다.

 
뛰어난 통찰력을 지닌 박명준에 의해 사건의 전모가 하나씩 밝혀져 간다. 그리고 그 전모가 밝혀져 감에 따라서 뒤에 감추어진 일본내 각 세력들간의 얽히고 섥힌 엄청난 음모들이 드러난다. 실존인물들이 엮어내는 이야기는 그 당시 일본내의 권력구도와 각 인물들간의 이해관계가 실제로 어디까지 그러하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작금의 한일관계와 묘하게 대비되면서 흥미롭게 전개된다. 처음 효종이 남용익에게 밀서를 전하는 서막에서부터 곧바로 교토에서 일어나는 의문의 살인사건, 그리고 수수께끼가 수수께끼를 부르는 식의 전개는 흡입력 있고 이야기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인물들간의 복잡하게 얽히고 섥힌 이야기를,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의 역사를 배경으로 창조해 낸 것을 보면 작가가 일본사에 상당히 능통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런데, 한국형 팩션이라는데 대한 선입견이 컸던 탓인지, 무대가 일본이면 일본인들이 나오는건 당연한데도 불구하고 일본 이름들이 우르르 쏟아져 나오는 바람에 처음에는 좀 당황스러웠다. 그거야 읽다보니 뭐 금새 적응이 되기는 했지만 문제는 이름이 너무 자주 나온다는 것이다. 상당히 교묘하고 복잡한 사건의 상황설명이 인물들의 대사안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누가 무엇때문에 누구와 손을 잡고 누가 누구를 어찌하였고 누구와 무슨 관계이며 누구와 누구.... 한 페이지 안은 물론이고 한사람의 대사안에서도 수없이 이름들이 왔다갔다 하는 바람에 나중에는 뭐가 뭔지, 누가 무얼 어떻게 했다는건지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기 시작했다. 어쩌면 그건 소설이 아니라 내 집중력의 문제일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너무 많은 것을 짧은 분량안에 담으려고 했다는 인상을 지울수가 없다. 명탐정 코난이 마지막에 범인을 지목하고 모든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는 그런 상황이 중반부터는 계속해서 이어지니, 잠깐만 집중력을 잃으면 이야기에서 낙오되어 버리곤 했다. 생소한 일본의 역사만으로도 좀 헷갈린 감이 있는데 이렇게 복잡하게 꼬인 추리소설이기까지 하다보니, 읽는 입장에서는 이중고가 아니였나 싶다. 초중반까지는 빨려들어 갈듯 몰입해서 읽었던 것을 생각하면 그래서 더 그런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예나 지금이나 권력에 대한 인간의 욕심은 하나도 변한 게 없는것 같다. 권력을위해서, 자신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라면 애꿎은 백성들과 타국민의 생명은 안중에도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욕심을 막아내기 위해서도 또 권력을 탐하게 된다. 전쟁까지 불사하게 만드는 이 권력의 오묘한 힘 때문에 인류는 예전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언제 싸움판에 내던져질지 모르는 숙명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