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리아드 (양장, 한정판)
스타니스와프 렘 지음, 송경아 옮김 / 오멜라스(웅진)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주가 오늘날처럼 형편없지 않던 시절... 하고 옛날이야기라도 들려주는 것같이 시작되면서 아득한 먼 미래의 사건들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현학적인 요소가 가득한 SF우화라고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원하는 일은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신과 같은 능력을 가진 두 로봇 트루를과 클라포시우스가, 아득히 먼 행성들의 다양한 민족들에게 따뜻한 조언과 작은 원조의 손을 내밀고자 하는 이야기입니다. 로봇이 인간을 구한다고 하는 설정에서 느껴지듯이 스타니스와프 렘 특유의 시니컬함은 변함없지만 이 작품 같은 경우에는 우화를 읽는 듯한 기분으로 산뜻하게 읽고 가볍게 웃을 수 있습니다. 교훈같은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는 황당 무계하고 유머러스한 분위기의 이야기입니다. 진지한 장편만 읽어 본 독자로서 이러한 렘의 일면을 알 수 있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작품에서만 접할 수 있는 특수한 용어나 고유 명사에 의해 만들어진 독특한 분위기도 놓칠 수 없습니다.

 

'첫번째 외출 혹은 가르강티우스의 덫'은 서로 으르렁거리며 반목하는 두나라의 왕에게, 주인공인 두 로봇이 전쟁에서의 궁극의 지휘명령계통기술을 전수함에 따라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2개의 나라로 나누어진 혹성에 내려선 두로봇. 각각 아트로시투스(잔인), 페로시투스(포악) 이라는 두 명의 통치자에게로 다가간 트루를과 클라포시우스는, 군대의 강화를 요구하는 왕들에게 가르강티우스의 비법을 이용할 것을 조언합니다. 가르강티우스의 비법과 거기에 숨겨져 있는 역설적인 덫이 잘 그려져 있습니다. 또, 조금은 목가적인 느낌의 마지막 장면이 인상에 남습니다.

 

트루를은 행동하고 나서 생각하는 타입인데 반해, 클라포시우스는 반대로 행동하기 전에 잘 생각하고 실행에 옮기는 타입입니다. 그런 둘은 때로는 반목도 하지만 사이 좋은 친구입니다. 두 명의 대화는 만담을 보고 있는 것처럼 읽고 있으면 즐겁습니다. 두 명은 일단 로봇이지만, 행동거지로 보아서는 인간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이 단편집이 이론이나 치밀한 설정을 중시하기 보다는 유머러스한 풍자나 해학쪽에 더 치중을 두고 있다는 증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단편 하나의 길이는 짧지만, 그에 비하면 읽는데는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이유중 하나는, 우화풍이라고 해도 현학적 요소가 거의 글 전체에 가득 채워져 있어서, 생각없이는 가볍게 책장을 넘기기가 쉽지 않은데, 오히려 그런점이 이 소설의 매력이자 즐거움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조금 독특한 단어들이 다수 사용되고 있어서 그것에 익숙해지는데 조금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러나 뭐, 렘의 작품을 간단하게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은 처음부터 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단어 하나하나를 음미하면서 즐길수 있었습니다. 팬으로서 충분히 만끽했습니다. 읽을 수 있게 되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

 

이 두 로봇이 엮어나가는 이야기로부터, 당시의 사회상이나 비판등을 읽어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너무나 인간 냄새나는 로봇들을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소설이지만 읽지 않고 그냥 지나가기에는 너무 아까운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