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으로 다시 읽은 작품. 오래전에 읽어서 그런지 처음 읽는 기분이었다. 단편들이 다 좋았다.

"두번다시 여기로 돌아올 생각은 조금도 없어요" - P71

"문제는 당신이 나한테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는거예요. 좀더 정확히 말하면, 당신의 내부에는 나한테 주어야 할 게 아무것도 없단 말이에요. 당신은 다정하고 친절하고 멋있지만 당신과의 생활은 마치 공기덩어리와 함께 살고 있는 것 같아요. 물론 그건 당신만의 책임만은 아니에요. 당신을 좋아하게 될 여성은 많이 있을거에요. 전화도 걸지 마세요. 남아 있는 내 짐은 모두 처분해 주세요." - P17

"하지만 그런 일들은 어딘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게 아닐 까?" - P29

"어쨌든 모닥불이 모두 꺼질 때까지 다다리자. 애써 피운 모닥불이잖아. 최후까지 같이 있고 싶어. 이 불이 꺼지고 칠흑같이 어두워지면, 같이 죽자." - P72

오른쪽 귓볼이 없었는데, 어릴 때 개한테 물어뜯겼기 때문이라고 했어. 길을 걸어가고 있는데, 본 적도 없는 커다란 검은 개가 넘벼들어 귀를 물어뜯었다는 거야. 그래도 귓볼만 뜯긴 게 다행이라고 그 사람은 밀하더구나. 귓볼이 없어도 사는데 지장은 없다고. 코라면 그렇게는 안 되겠지. 확실히 그말이 맞는다고 나도 생각했지. - P87

신이 인간을 시험할 수 있다면 왜 인간은 신을 시험해선 안 되는 거지? - P100

내가 뒤쫓고 있었던 건 아마도 내가 안고있는 암흑의 꼬리 같은 것이었다. 나는 우연히 그걸 봤고, 추적했고, 매달리려 했고, 최후에는 더욱 깊은 암흑 속에 팽개쳐져버린 것이다. 내가 그것을 보게 되는 일은 이제 두 번 다시 없을 것이다. - P101

가슴속에 있는 상념을 상대방의 손에 전달하려고 했다. 우리의 마음은 돌이 아닙니다. 돌은 언젠가 부너져 내릴지 모릅니다. 모습과 형태를 잃어버릴지 모릅니다. 하지만 마음은 무너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 형태가 없는 것을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어디까지고 서로 전할 수 있습니다.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을 추는 겁니다. - P107

지금까지지와 다른 소설을 쓰자, 하고 준페이는 생각한다. 날이 새어 주위가 밝아지고, 그 빛 속에서 사랑하는 사람들을 꼭 껴안고 누군가가 꿈꾸며 애타게 기다리고있는 것 같은 그런 소설을. 하지만 지금은 우선 여기에 있으면서 두 여자를 지키지 않으면 안된다. 상대 가누구든, 영문 모를 상자속에 넣어지게 해선 안된다. 설사 하늘이 무너져 내린다 해도, 대지가 소리를 내며 갈라진다 해도. - P224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돌이 2025-08-12 13: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직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은 한 번도 못 읽어봤는데, 새파랑님이 남겨주신 글을 읽으니, 관심이 가네요? 기웃기웃

새파랑 2025-08-12 14:22   좋아요 1 | URL
저는 곰돌이님 글 보고 박솔뫼 작가님의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하루키 팬으로써 모든 작품이 다 좋습니다~! 아직 한번도 안읽으셨다니 부럽네요~!! 하루키 소설은 장편 단편 다 좋습니다~!!

곰돌이 2025-08-12 15:05   좋아요 1 | URL
박솔뫼 작가님 작품 중에서 <미래 산책 연습>을 가장 좋아해요. 처음에는 조금 갈 길을 잃은 사람처럼 막막해했었거든요? 그러다가 빠져버렸어요. 새파랑님에게는 또 어떤 느낌으로 다가갈지 궁금하네요. 자신의 결과 맞든 잘 안 맞든 여러 작품을 접한다는 그 자체가 좋은 것 같아요. ㅎㅎㅎ

새파랑 2025-08-12 15:12   좋아요 1 | URL
곰돌이님 평이 좋아서 미래산책을 우선 구매했습니다 ㅋ 땡투도 했어요~! 이제 50장 정도 읽었습니다~!!!

곰돌이 2025-08-12 15:29   좋아요 1 | URL
저 같은 사람을 믿고 구매를 하신 게 뒤에서 자꾸 누가 옷을 잡아당기는 것처럼 불편은 하지만 좋은 시간 되시길요. ㅎㅎㅎ 땡투는 감사합니다. 그런 일이 거의 없는데 말이죠. 제가 즐겨 쓰는 표현은 아니지만 호불호가 있는 박솔뫼 작가님의 작품은 확실히 독특한 편이어서 처음엔 친해지려고 노력이 필요하더라고요. 말이 점점 길어지네요. 늦었지만 저 이만 가볼게요. 휘리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