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랍어 시간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語)을 잃어가는 한 여자의 침묵과 눈(眼)을 잃어가는 한 남자의 빛이 만나는 찰나의 이야기



책의 뒷표지에 쓰인 이 문구만큼이나 <희랍어 시간>을 잘 설명하는 표현이 있을까 싶다. 소설에는 오직 ‘그’와 ‘그녀’라는 대명사로 지칭되는 두 주인공이 나온다. <희랍어 시간>은 두 인물이 만나면서 벌어지는 소설,이 아니라 각 인물이 겪었던 사연을 교차하며 이야기를 풀어가고, 후반부에 두 사람을 교차시키며 마무리된다. 큼지막한 사건이 있는 게 아니라 인물의 사연을 듣는 데 초점을 맞춰야하는 소설이므로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는, 그렇지만 그 각각의 서사가 품고 있는 여운이 너무도 묵직하고 처절한 작품이다.



‘그녀’는 ‘말(語)’을 잃었다. 한때 ‘그것’이 그녀에게 찾아와 말을 잃었던 적도 있지만 그때는 ‘한 개의 평범한 불어 단어’ 덕분에 다시 말하게 될 수 있었다. 그런 ‘그것’이 이번에 또 찾아왔다. 이번에는 왜, 어째서 그녀는 말을 잃은 것일까. 심리치료사는 이혼 소송에서 패소하고 양육권을 빼앗긴 것, 부모님이 돌아가신 것 등의 거대한 외부적 충격이 동시다발적으로 찾아와 그런 것이라 함부로 추정하지만 그녀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며 이를 부정한다.



그녀는 왜 말을 잃었을까. 심리치료사가 말한 이유도 납득할 수 있지만, 왜 그녀는 이를 부정한 것일까. 내가 감히 짐작해보건대, 그런 외부적 충격이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이 아닐까. 다시 말해 말을 잃게 만든 직접적인 이유는 바로 ‘자아’를 잃어버린 것이고, 그 자아를 잃게 만든 데에 외부적 충격들이 영향을 끼친 게 아니었을까 싶다. 즉, 그녀는 이혼 소송을 겪으며 ‘~의 아내’를 못하게 되었고, 양육권을 빼앗겨서 ‘~의 엄마’ 또한 이제는 못하게 되었다. 게다가 육친의 죽음으로 ‘~의 딸’이라는 호칭도 잃게 되었으니,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모조리 없어져 내면의 자아가 부서지고, 이것이 결국 말을 잃게 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 것 아닐까?

여하튼 말을 잃은 그녀는 고대 희랍어를 배우게 되고, 그곳에서 강사인 ‘그’를 만나게 된다. 그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눈(眼)’을 잃고 있다. 그는 자신의 질병과 관련된 말실수를 저질러 첫사랑을 잃었다. 또한 아버지에게는 평생 떳떳하지 못한 아들로서 미움을 받고 있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음을, 그것이 오해였음을 깨닫는다. 그가 앓고 있는 유전병이 아버지 본인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여 느끼는 죄책감, 자기혐오 등으로 인해 아들인 그를 온전히 사랑의 시선으로 바라보지 못한 것임을 알아차리게 된다.

소설의 후반부에서 두 사람이 만나며 이야기는 고조된다. 얼굴로 달려드는 새를 피하려던 ‘그’는 건물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고, 그런 그를 ‘그녀’가 발견하면서 두 사람은 비로소 소통하기 시작한다. 그는 그녀에게 말을 하고, 그녀는 그의 손에 글을 적는 방식으로 말이다. 과연 두 사람은 어떤 끝맺음을 향하게 될까, 두 사람이 서로를 구원하게 될까? 아니면 두 사람이 함께 전락해갈까? 마지막 챕터의 제목이 ‘0’인 것, 그리고 그 챕터가 ‘그녀’의 시점으로 서술되어있는 것은 위 질문에 대해 작가가 알려준 답이지 않을까 싶다. ‘그녀’가 결국 1인칭으로 ‘말’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소멸하던 두 사람이 서로를 마침내 구원해주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