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 - 사람의 뇌가 반응하는 12가지 스토리 법칙
리사 크론 지음, 문지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오랜만에 정말 흥미로운 ‘작법서’를 읽었다. 단순히 이야기를 어떻게 써야 하는가에 대해서만 풀어놓은 것이 아니라, 앞선 한줄평에서 언급했듯이 그에 대한 근거들을 인지심리학 그리고 뇌과학이라는 영역에서 찾아와 제시하기 때문에 훨씬 더 흥미롭고 설득력 있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어떻게 잘 쓰느냐에 앞서서 먼저 다루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이야기를 왜 써야 하는가’이다. 저자는 이를 하버드대의 저명한 인지과학자 스티븐 핑거의 말을 빌려 설명한다.

“허구적 서사는 언젠가 우리가 맞닥뜨릴 수도 있는 운명적 난관들에 대한 일종의 정신적 카탈로그를 제공해주며, 그 상황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결정의 결과도 알려준다.

23p

즉 우리는 이야기를 통해 아주 극적이고 강렬하고 위험할 수 있는 경험을 실제로 겪지 않더라도 간접적인 차원에서 추체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일종의 미래를 대비하는 ‘최종 리허설’이라고나 할까.

그렇다면 이야기란 대체 무엇일까에 대해 논의해보자. 저자는 몇 가지의 일상 용어들을 통해 개념을 제시한다.

이야기란, 달성하기 어려운 어떤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누군가’에게 ‘일어나는 일’들이, 그에게 어떤 영향을 주며, 나중에 그를 ‘어떤 모습으로 변화시키는가’를 보여주는 일이다.

25p

위에서 쓰인 일상 언어들을 ‘문학 용어’로 치환해보면, 목표한 ‘독자가 품게 되는 가장 중요한 질문’이고 누군가는 ‘주인공’, 일어나는 일은 ‘플롯’, 어떤 모습으로 변화시키는가는 ‘실제 이야기(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어느 정도 ‘이야기’란 녀석에 대해 감이 잡힐 것이다. 그러므로 본격적인 ‘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에 대한 답을 풀어볼까. 물론 이에 대한 답은 이 책의 목차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핵심에 집중하기’, ‘감정 전달하기’, ‘주인공의 목표 만들기’, ‘세계관 뒤틀기’, ‘구체적으로 쓰기’, ‘변화와 갈등 만들기’, ‘인과관계의 중요성’, ‘시험 들기와 상처 입히기’, ‘복선에서 결과까지’, ‘서브 플롯의 비밀’, ‘작가의 머릿속 들여다보기’ 등등… 이를 이곳에 전부 요약하여 설명할 순 없으므로 이 글에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가장 핵심만을 설명토록 하겠다.

신경과학자 조나 레러의 말을 빌리면 놀라움보다 우리 마음을 더 잡아끄는 것은 없다. 그러니까 우리가 책을 집어 들었을 때 가장 원하는 것은 뭔가 범상치 않은 일이 일어날 듯한 느낌이다.

27p

그렇다. 너무도 당연하지만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이야기의 법칙, 그건 바로 ‘놀라움’이다. 우리의 신경은 무수히 많은 자극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이들 중 특정한 일부만을 선별하여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그 많은 자극 중 하나로 간택(?)되기 위해서는 독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게 하는 ‘놀라움’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우리 안의 호기심이 작동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이야기를 계속 읽어나가게 된다고 하니, 이 점을 참고한다면 우리도 다른 사람들의 구미를 당길 만한 ‘끌리는 이야기’를 직접 쓸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