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기 문학동네 시인선 181
허은실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집은 전체 다섯 개의 부로 나누어져있는데, 그중 4부와 5부에 와닿는 시들이 특히 많았다. 4부에서는 ‘제주 4.3사건’의 참혹함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시들이 많아서 이해하기가 보다 쉬웠고, 5부에는 그런 참혹함에도 불구하고 따뜻한 인간의 내면을 믿고 말하고 싶어하는 느낌의 시들이 내 마음과 잘 맞았다. 




📖 <순례자> 부분


나는 보았다. 그들. 총을 든 검은 개 누렁 개

닮은 얼굴을 향한 적의를 나는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나는 보았다. 검은 부리가 물고 날아가는

눈동자들을


나는 생각한다. 얼마나 가련한 존재인가. 꼬리도 없는. 거짓을 감추기 위해 꼬리마저 지운 족속들은

인간. 동족을 사냥하는 생물. 제 종족을 살육하는 종




이 시에서 등장하는 ‘검은 개’와 ‘누렁 개’라는 시어는 4.3 사건 당시의 주민들 사이에서 통용되던 은어로, ‘검은 개’는 경찰을 ‘누렁 개’는 토벌대를 뜻한다고 한다. 이 점을 알기 전에 시를 읽을 때와 알고 난 후에 읽을 때의 감상은 판이하게 달랐다. ‘닮은 얼굴을 향한 적의’는 같은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게 총을 겨누고 죽고 죽이는 행동들을 비꼬기 위한 표현이었다. 그리고 그 점을 조금 더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인간’을 ‘동족을 사냥하는 생물, 제 종족을 살육하는 종’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죽임을 당한 사람들의 유족들의 입장을 다루는 시 또한 있는데, 바로 아래 인용할 ‘설움이 나를 먹인다’라는 시이다.




📖 <설움이 나를 먹인다> 부분


설움에게 잘도 얻어먹고 다녔구나

울음의 연대라고 생각했던 것

실은 당신 것으로 연명해온 일

셔울 광화문 보리차도

곱은 손 녹이던 핫팩도


경찰 버스 아래

언 아스팔트에 누웠던 유가족

맨몸의 바리케이드도

슬픔이 시민의 보호자였다




그러나 허은실 시인은 인간의 잔혹한 측면을 고발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다. 앞선 한줄평에서 언급한 시구도 그렇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에게는 따뜻한 본성 내지는 이타적인 마음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라는 위로 또한 덧붙인다. 그 지점이 내게 큰 감동을 주었고 위로가 되었다. 인류애 없이 그저 삭막하고 각박한 시선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건 얼마나 피곤한 일인가, 세상은 절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사회이지 않은가. 인간의 추악한 면모를 부정한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아름다운 내면 또한 존재하기에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거라 생각한다. 그런 마음이 느껴졌던 시구를 인용하며 이 글을 마친다.




📖 <첫눈> 부분


아— 해봐요 응?

마른 입술에

떠넣어주던 

흰죽 


세상에는 이런 것이 아직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