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크아웃 11
최은영 지음, 손은경 그림 / 미메시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몫’은 지금까지 읽은 최은영 작가님의 소설들 중에서 가장 페미니즘 색채가 강한 작품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대학교 교지의 편집국에 소속된 학생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 시대의 여러 여성 문제, 아니 사회 문제들을 수면 위로 드러내 논지로서 다루고자 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들에게도 그 현안을 시사하고 있다. 적극적으로 해당 사안들을 교지에 싣고자 하는 ‘희영’이라는 인물과, 그와 반대로 전체적인 사회 문제들을 담아야 하기에 ‘여성 문제’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협소한 관점이라 말하는 ‘용욱’ 등의 인물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모습을 보며 독자들은 둘 중 어느 한 쪽의 입장에는 공감을 다른 한 쪽의 입장에는 반박을 하고 싶을 듯하다.

그렇기에 이 작품을 읽으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는 없었다. 자신과 다른 관점의 글을 읽는다는 것은 마치 몸에 안 맞는 옷을 입은 것처럼 갑갑하고 거북한 느낌이 들기 마련이지 않은가. 다만 그 불편함이 싫었던 건 아니라는 말도 함께 덧붙이고 싶다. 분명히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걸 이 작품은 끊임없이 강조하고 있었고, 나 역시 충분히 동의하는 바였다. 


이기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차라리 이런 일을 몰랐던 때로 돌아갔으면 좋겠다고. 하지만 이제 세상은 그럭저럭 잘 굴러가는 곳이라고 생각했던 시절로 돌아갈 수가 없게 되어버렸다고. (68p)


정곡이 찔려도 너무 제대로 찔리는 바람에뜨끔하는 정도를 넘어하고 순간적으로 숨을 참게 되었던 문장이다. 사실 지금의 자신이세상은 그럭저럭 굴러가는 곳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 내게 그런 식으로 속편하게 살지 말라고,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이 처한 사회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라고 나를 질책하는 듯했다. 물론 나는 아직 세상엔 따뜻한 사람이 나쁜 사람들보다 많다고 생각하고, 생각을 잃고 싶지 않다. 그러나 작품은, 그리고 위의 문장은 사회엔 어두운 일면이 분명히 있고, 그것을 부정하거나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말하며 나를 일깨워주었다. 사회적 현안들에 대해 정면으로 돌파하여 극복해나가는 노력이 더해져야 내가 바라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있겠구나하는 교훈과 다짐을 얻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