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4>를 읽으며 다시 한번 느꼈다, 조지 오웰이야말로 ‘칼 같은 글쓰기’를 하는 작가라는 것을. 전에 읽은 <동물농장>이 우화의 형식으로 반공주의 사상을 그려냈다면, <1984>는 보다 직접적으로 독자들에게 강하게 경고한다. <동물농장>보다 소설적인 재미는 덜할지 몰라도, 담고있는 메시지는 훨씬 더 무겁고 날카롭다. 읽는 동안 온몸에 소름이 끼칠 정도로 무서운 느낌이 들었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소설은 1984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약 40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지금에 읽어도 충분히 몰입하고 납득되었기 때문이다. 

.

소설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1부에서는 작중 배경을 묘사하는 데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소설 속 세계는 끊임없는 전쟁과 약탈을 통해 ‘오세아니아’, ‘유라시아’, ‘이스트아시아’라는 세 개의 거대한 국가로 통합되었고, 이중 ‘오세아니아’를 작품의 주무대로 하고 있다. 오세아니아의 최고 권력 기구인 ‘당’은 허구의 인물 ‘빅브라더’를 내세우면서 ‘텔레스크린’ 등의 장치를 통해 당원들의 사생활 하나하나를 모두 감시하고 통제한다.

🗣 텔레스크린은 수신과 송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 기계는 숨죽인 속삭임을 넘어서는 모든 소리를 낱낱이 포착한다. (…)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내는 소리가 모두 도청을 당하고, 캄캄한 때 외에는 동작 하나하나까지 감시당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며 살아야 했는데, (…) (11p)

.

당의 통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그들은 ‘골드스타인’이라는 인물을 반역자로 내세워 그를 혐오하게 함으로써 대중의 분노를 그에게로 집중시킨다. 또한 기존의 언어를 줄이며 ‘신어’라는 새 언어 체계를 만드는데, 이는 당에게 반대하는 사상 자체를 막기 위한 활동이었다.

🗣 “자네는 신어를 만든 목적이 사고의 폭을 좁히는 데 있다는 걸 모르나? 결국 우리는 사상죄를 범하는 것도 철저히 불가능하게 만들 걸세. 그건 사상에 관련된 말 자체를 없애버리면 되니까 간단하네. (…)” (74p)

.

주인공 ‘윈스턴’은 이러한 당의 통제에 환멸을 느끼는 인물이다. 앞서 말했듯 1부에선 작중 배경을 세밀하게 그려냄으로써 주인공의 생활 방식을 설명했다면, 2부에 들어서는 주인공이 당에게 반기를 드는 과정을 서술한다. 그는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진 ‘줄리아’라는 여성을 만나 연인 관계를 맺고, 내부당원 ‘오브라이언’을 찾아 반당 단체인 ‘형제단’에 가입하며 골드스타인의 저서를 읽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을 해나가려 한다. 그러나 그는 곧 함정에 빠지며 사상경찰에 체포되며 소설은 3부에 접어든다. 3부에서는 윈스턴이 줄곧 고문을 당하는 장면들이 나열된다. 동시에 당은 그의 정신을 개조하고자 하는데, 윈스턴이 과연 어떤 결말을 맞이하게 되는지는 이만 말을 줄이겠다.

🗣 그는 ‘좌중단’ 훈련을 하기 시작했다. 자신에게 몇 가지 명제들 - ‘당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말한다’, ‘당은 얼음이 물보다 무겁다고 말한다’ - 을 제시하고, 이와 반대되는 견해는 듣지도 생각하지도 않도록 스스로를 훈련시켰다. 그러나 쉽지 않았다. 상당한 추리력과 임기응변 능력이 필요했다. (385p)

.

브라더라는 존재가 나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있다는 세계관이, 어쩐지 지금 시대에 부합하는 설정이라는 생각이 든다. 2003년에 쓰인 작품해설에선 ‘CCTV’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 20 정도가 지난 지금에선 그보다 체계화된 시스템이 우리를 훔쳐보고 감시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바로알고리즘이다. 유튜브 쇼츠를 보거나 인스타 광고 등을 , 우연히 초간을 지속하여 어떤 영상을 보면, 해당 영상과 관련된 콘텐츠들이 뒤로 우후죽순 쏟아져 내리는 경험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그때마다 무서움을 느끼는데, <1984> 그런 점을 정확하게 꼬집으며 경고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읽는 동안 계속 무서웠고, 오한을 느낀 또한 한두 번이 아니었다. 지금의 시대를 살아가는 무섭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