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쇼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26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지음, 서은혜 옮김 / 민음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

가장 처음 수록된 소설이기도 하고, 가장 내 취향에 잘 들어맞는 작품이기도 했다. 이 작품은 아주 괴상한 크기와 형태의 코를 가진 한 스님이 주인공으로 평소 자신의 코에 대한 콤플렉스가 심한 인물이다. 사람들이 자신을 계속 쳐다보고 비웃는 것만 같아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한 제자가 코를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면서 그 스님의 코를 짧게 만든다. 과연 이 스님은 어떻게 될까.

아주 짧은 분량의 내용이지만 그 안에 인간의 나약하고 간사한 본성이 아주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 같아 굉장히 강한 인상을 남긴 작품이었다.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는 나혼자만의 비밀(?)같은 것이 있었는데, 그게 없어졌다고 해서 사람들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게 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소설 속 인물의 행동으로 반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씁쓸한 조소를 짓게 되는 소설이었다.

.

[덤불 속]

북클럽 문학동네에 가입하면서 웰컴키트로 <트러스트>라는 책을 받았는데, 읽기 전에 이 책에 대해 검색을 좀 했더니 (내가 정말 좋아하는) 장강명 작가님의 코멘트가 눈길을 끌었다. ‘라쇼몽식 전개’. 그래서 <트러스트>를 읽기 전에 이 작품을 먼저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라쇼몬>을 읽게 된 것이다. (여기서 ‘라쇼몽’이란 일본 영화를 말하며, 이는 이 작품집에 수록된 <라쇼몬>과 <덤불 속>을 영화화하였다.)

<라쇼몬>이라는 작품을 읽을 땐 잘 몰랐으나, <덤불 속>을 읽고 나니 장강명 작가님이 말한 ‘라쇼몽식 전개’가 무얼 의미하는지 알 것 같았다. 이 작품은 하나의 사건을 두고 서로 다른 인물들의 상반되고 모순되는 증언들을 담은 이야기인 것이다. 누구의 말이 사실인지, 혹은 사건의 전말이 무엇인지 이 작품은 끝끝내 밝히지 않는다. 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답답함을 유발할 수도 있겠으나, 이조차 이 작품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더군다나 ‘라쇼몽식 전개’라고 한 것은 이 작품이 이런 서술 방식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을 터인데, 이 작품 나온 당시의 사람들에겐 정말 큰 반향을 일으키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덤불 속>은 한번쯤 읽어보는 데에 의미가 있는 작품인 듯하다.

.

[지옥변]

단편집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건데, 수록된 ‘모든’ 단편들이 전부 다 마음에 들기란 참 힘든 일인 것 같다. 이 작품집 역시 내 마음에 와닿지 않는 작품들이 몇 있었고, 그 중 하나가 바로 <지옥변>이었다. ‘호리카와 대신’의 명을 받들어 지옥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게 된 화가 ‘요시히데’가, 자신이 직접 본 것만을 그린다는 (나름의 신념으로 인해) 자신의 딸이 불타 죽는 모습을 그리게 되는… 그런 이야기이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전혀 알지 못했다. 그저 불쾌한 기분과 머릿속 물음표 몇 개만 남겼을 뿐이다. 그러다가 (내가 정말 사랑하는) 북튜브 채널 ‘너진똑’의 영상에서 이 작품을 다룬 영상을 보고 그제서야 납득이 되었다. 이분도 이 작품을 대차게 까고 있는데, 책을 읽은 사람은 영상을 직접 보길 바라는 마음에 링크를 적으려고 한다. 나는 그저 이분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말만 남기겠다.

https://youtu.be/mX9zPWhGS6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