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의 마음으로
임선우 지음 / 민음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 소설가들이 뽑은 올해의 소설’ 3위에 들었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어볼 이유는 충분했다. 수록된 모든 작품이 마음에 들었다고는 못하겠지만, 그래도 내 마음을 울린 작품들이 여럿 있었다. 그 중 두 편에 대한 감상을 남길까 한다.

.

[유령의 마음으로]

어느 날 갑자기 문득 나와 똑같은 모습의 유령이 내 눈 앞에 나타난다. 유령은 자신을 두고 유령이 아니라 ‘너 자신’이라고 하지만 주인공의 눈에는 그저 유령일 뿐이다. 이 유령은 왜 갑자기 나타난 걸까. 

사실 주인공에게는 2년 째 의식불명인 상태로 병실에 누워있는 남자친구가 있다. 주인공은 매주 토요일마다 남자친구의 병실을 방문하기를 2년동안 반복하고 있는데, 그 마음은 무엇일까, 아니 어떤 상태일까. 남자친구를 사랑하는 마음 하나만으로 2년을 그렇게 꾸준히 매진할 수 있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사랑도 분명 있었겠지만 그 또한 점차 무뎌질 것이고, 더이상 사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무의식적으로 깨닫고선 도리어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을까.

유령은 그래서 주인공 앞에 나타났을 것이다. 무거운 마음을, 복잡다단한 감정들을 지금껏 속에 담아두기만 해왔던 주인공이기에 그 마음을 대신해서 감당해주기 위해서. 그렇게 주인공의 마음을 조금은 덜어주고 싶어서, 그리고 바깥으로 표출해주고 싶어서. 실제로 이 작품에는 주인공이 느낄 법한 감정들을 유령이 대신해서 느끼는 장면들이 종종 등장한다. 그렇기에 주인공이 가지고 있던 감정의 압박을 점차 훌훌 털어내는 모습을 보며, 독자인 나로서는 행복한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는 단단하게 살아갈 주인공을 응원하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든다. 

.

[빛이 나지 않아요]

인간을 해파리로 변하게 만드는 ‘좀비 해파리(?)’라는, 다소 파격적인 소재를 담은 이 작품은 앞선 <유령의 마음으로>와는 다르게 분위기가 조금은 무겁다. 처음에는 인간과 해파리의 치열한 투쟁을 그린 이야기일까 싶었지만, 전혀 아니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서울에서 밴드를 하다가 잘 안돼서 도망치듯 해변가 마을로 오게 된 백수 남녀이다. 공과금이 밀리고 생활비도 빠듯하게 살아가야하는 이들에게 ‘좀비 해파리’의 등장은 그들에게 일거리를 제공해주는 구실이 되었다. 남자는 죽은 해파리들을 치우는 미화원이 되었고, 여자는 더이상 살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해파리로 만들어주는 직업이었다… 읽는 동안 나의 마음을 가장 무겁게 만든 대목은 바로 이 부분이었다. 

🗣 살기에는 지쳤고 죽기에는 억울한 사람들은 해파리만큼이나 많았다. (48p)

작품의 후반부 내용이나 결말은 스포일러가 듯하여 말을 삼가겠다. 다만 척박한 사회를 살아가는 너무도 버겁게 느껴질 때가 있었는데, 작품을 읽으면서 자꾸만 그때의 내가 떠올라서 감정적으로 크게 동요했다는 것과, 그럼에도 사회를 살고 싶은 마음을 (‘미련이라 있을까) 다시 한번 깨닫게 되어 역설적으로 위로를 받기도 했다는 점은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