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밝은 밤>이야말로 이미 너무도 많은 사람들에게 읽힌 베스트셀러가 아닐까 싶다. 나도 이 책을 사두고선 계속 책장 속에 묵혀두다가 북클럽 문학동네 웰컴키트로 받은 ‘소설가가 뽑은 올해의 소설’에서 최은영 작가님 작품을 다시 읽으며 그제서야 <밝은 밤>을 집어든 것이다. 예상했던 만큼 좋은 문장들이 가득했고, 예상했던 만큼 먹먹한 여운에 젖어들 수 있었다. 다만 기대했던 만큼 슬프거나 눈물을 펑펑 쏟아내지는 못했다.

.

작품 소개나 줄거리 설명이야말로 이런 베스트셀러의 뒤늦은 후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으므로, 거두절미하고 바로 나의 감상부터 말하도록 하겠다. 앞서 말한 것처럼, <밝은 밤>에 대해 겨울서점을 비롯한 여러 북튜버들이 입을 모아 눈물을 펑펑 흘릴 정도로 슬펐다고 하길래, 혹시 나도 책을 읽으며 눈물을 쏟는 경험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음, 아니었다. 책을 다 읽고 난 뒤에도 그 이유를 전혀 알지 못했다. 왜 그럴까, 오랜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이야기가 조금 작위적이라고 느꼈기 때문인 듯하다.

.

4대에 걸친 여성서사가 주를 이루는 이 작품에서, 남성은 그야말로 ‘악’하게만 비춰진다. 정말 말이 안될 정도로 이해가 되지 않는 인물(증조부)도 나오고 현실에서 흔하디 흔한 인물(남편)도 나온다. 이 작품의 여성은 주로 남성들에게 피해를 받는 입장으로만 나오는데, 꼭 이렇게만 인물을 그려냈어야 했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굳이 피해자로만 그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삶을 이끄는 여성 인물이 나왔으면 어땠을까… 싶지만, 그래도 아주 오래전의 우리나라에선 여성이 주체적으로 살아가기엔 너무도 무리였던 ‘유교’사회 였기에 납득을 할 수는 있었다. (그럼에도 아쉬운 감상이 없어지진 않았다…)

.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추천하고 싶은 이유는, 그래도 <밝은 밤>은 너무 좋은 여성 소설이자, 역사 소설이자, 휴머니즘 소설이기 때문이다. 증조모와 새비 아주머니의 가슴 아린 인연부터 주인공과 할머니의 서로를 위하는 애틋한 마음까지… 읽으면서 가슴이 따뜻해지고, 먹먹해지는 건 절대 부정할 수 없었다. 어떤 장면에서는 코 끝이 찡해지는게, ‘사람들이 이 부분에서 많이 울었겠구나’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을 정도였다.

.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새비 아주버니의 죽음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이 부분을 설명하기엔 미천한 나의 글솜씨가 한없이 부족하여 관련한 문장 몇 줄을 옮겨 적으며 이 글을 마치려 한다. 혹여나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꼭 한번쯤은 시간내어 읽어보길 바라는 마음이다.

🗣 (123-128p)

 - 희자 어마이, 내레 더이상 기도를 못하겠어. 천주님, 그때 뭐하고 계셨어. 어린아이들, 죄 없는 사람들이 그렇게 찢겨 죽어가는 동안 뭐하고 계셨더랬어.

 - 희자 어마이, 전지전능한 천주님이 왜 손을 놓고 계신 기야. 나는 슬프기만 하는 천주님께 속죄하고 싶지 않아. 천주님 앞에서 내 탓이오, 내탓이오, 말하고 싶지 않아. 천주님이 정말 계신다면 그때 뭐하고 계셨느냐고 따지고 들고 싶어. 예전처럼 무릎 꿇고 천주님, 천주님 감사합니다, 말하고 싶지 않아. 기래, 나를 살려주셨지. 기래서 감사하다고 말한다면 다른 사람들 목숨은 뭐가 되나.

 - 첨엔 마음도 편치 않았다. 희자 아바이가 천주님에게 사과받고 싶다고 화내는 기를 보는 마음이. 내레 겁이 많잖아. 그런데 아니야…… 희자 아바이가 진짜 천주님을 버렸다믄, 화도 내고 사람들이 하란 대루 종부성사도 받았을 기야. 천주님을 사랑하지 않았다믄 기냥 미적지근하니 미사 가서 앉아 있다 왔을 기야. 그런 고집 부리지도 않았을 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