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소실점을 향해 민음의 시 271
양안다 지음 / 민음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의 소실점을 향해>는 내가 원래 시를 읽지 않으려 했던 이유를 다시금 깨닫게 해주었던 시집이었다. 지금까지 시집을 몇 권 읽어본 결과로써 느낀 나의 취향은 장시보다는 단시, 간결하고 함축적인 시들을 조금 더 선호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이 시집은 그와는 정반대의, 한 시에 열 페이지도 넘어갈 정도의 초장편시(?)들이 이곳에서 범람하고 있다. 아… 읽는 게 많이 힘들었다.

.

모든 시가 그랬던 건 아니지만 당최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와닿지 않는 시들이 꽤 있었는데, 그 시들이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은 느껴졌다. 그 세계관이 어떤 건지를 작품해설을 통해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 이 시집에는 그리운 추억들이 반복된다. 가족들로부터 달아나 네 평 남짓한 방 ‘방공호’에 모여 살던 아이들의 모습이 시집 대부분을 이룬다. 재개발이 진행되는 골목에서 악취를 견디며 할머니와 살던 유년의 풍경이 가끔 나타난다. (232p)

이 시집 속 여러 시들에서 ‘엘리’, ‘윤’, ‘단’ 등의 인물들이 나오고 이들은 서로를 비난하기도 하고 위로하기도 하는 모습들을 보이는데, 시집을 읽을 땐 이해할 수 없던 이들의 행동이 해설을 읽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바로 이들은 가출 소년들이었던 것. 그제서야 이 시집을 감싸고 있던 차갑고 우울한 분위기가 이해되었다. 시간이 흐른 뒤에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다. 그때에는 지금보다 이 시집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