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휘몰아치는 마라맛 전개에 나는 그저 휩쓸리기만 할 뿐이었다. 하… 너무 재밌게 읽었다. 말도 안되는 상황에 처한 주인공의 처지에 몰입하여 극강의 답답함과 빡침(?)을 겪으면서도 책장을 넘기는 걸 멈출 수 없었고, 그렇게 이 작품은 내게 하루만에 다 읽은 책이 되었다. 원래 막장 드라마도 욕하면서 보게 되는 매력이 있지 않은가.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도 딱 그런 느낌의 소설이었다.

.

주인공 ‘티타’는 세 자매 중 막내로, 가문의 전통에 따라 ‘막내딸’로서 평생 결혼도 못하고 어머니를 돌봐야하는 의무를 떠안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티타는 ‘페드로’와 깊이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어머니 ‘마마 엘레나’의 극심한 반대로 인해 결혼이 성사되진 못하였다. 페드로는 그럼에도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 곁에 평생 있고 싶은 마음 하나로 티타의 언니인 ‘로사우라’와 결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티타는 큰 상처를 입는다.

.

하지만 한 집안에 같이 살다 보면 저절로 붙어있는 시간이 늘어나 눈이 맞게 되는 법, 마마 엘레나는 티타와 페드로의 사이가 깊어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 탓에 페드로와 로사우라를 멀리 미국으로 이주시켜버린다. 이로 인해 티타는 또 한 번 마음의 상처를 크게 입어 극심한 우울증을 겪는데, 이를 치료하던 정신과 의사 ‘존 브라운’ 박사와 눈이 맞는다…?!

.

티타에게 있어서 페드로와의 사랑은 언제나 불안하고 위태로운 성질의 것이었다면 브라운과의 사랑은 정신적인 안정을 얻게 되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사랑이었다. 때문에 진정한 사랑이란 둘 중 어떤 것인가 하는 고민에 빠진 도중 ‘마마 엘레나’가 죽게 되어 티타는 그 말도 안되는 전통의 억압에서 벗어나 결혼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소식을 들은 페드로와 로사우라 부인이 다시 집으로 돌아오게 되며 본격적인 파국의 삼각관계가 시작된다…

.

보통 리뷰를 적을 때 작품의 줄거리를 줄이거나 아예 쓰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이 작품은 (결말을 포함하지 않은) 내용 요약에 세 문단을 할애할 정도로 내용적인 측면에서 큰 재미를 주는 소설이었다. 하지만,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이 작품은 색다른 재미를 내게 선사했다. 가장 먼저 소개하고 싶은 점은 소설 속 인물이 겪는 심리를 음식에 빗대어 표현한 부분들이 되게 생생하게 느껴졌던 부분이다.

🗣 냄비에서 올라오는 후끈한 김과 티타의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기가 한데 뒤섞였다. 속에서부터 끓어오르는 분노는 빵 반죽의 이스트처럼 부풀어 올랐다. 마치 조그만 그릇에 담긴 이스트가 그릇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처럼, (후략) (158p)

.

그리고 가지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마술적 사실주의적인 표현 방식이 사용된 것이다.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 어렵게 하는 점이 바로 마술적 사실주의의 서술이라 하는데, 작품에서도 그런 부분들이 (엄청 많지는 않지만 적지도 않은 정도로) 곳곳에 있었다. 물론 그런 부분들이 현실성과는 거리가 , 환상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나 작품 내용과 어우러져 오히려 극에 대한 독자의 몰입을 한층 끌어올렸던 같다. 분량 부분을 따로 적지는 못하겠으나 어찌되었든 너무 재밌게 읽었다는 말만은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