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 - 개정판
양귀자 지음 / 쓰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순>은 주인공 ‘안진진’과 그의 주변 인물들의 삶을 ‘안진진’의 시점으로 바라보듯 전개되는 작품으로, 이 작품 안에는 안진진의 사랑 이야기도 담겨있고,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에서 비롯한 서사도 쓰여있다. 많은 이야기들이 한 작품 안에 공존하고 있으나 전혀 난잡하거나 산만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그들의 삶에 완전히 몰입하여, 그리고 그들의 생각에 충분히 공감하여 읽을 수 있었고, 그러므로 읽는 내내 황홀한 기분을 만끽하였다.

.

‘모순’이라는 단어는 어찌 보면 아주 추상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은 그 추상성을 한 편의 서사로 구체화시켜 독자들에게 달콤씁쓸한 공감과 여운을 선사한다. 사실 인간은 그야말로 ‘모순’적인 동물이지 않을까 싶다. 인간은 완벽하게 합리적인 사고만을 좇는 것도 아니고 또 그렇다고 본능과 감정에 충실한 행동만을 하는 것도 아니다. 양극단의 사고와 행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게 인간이고, 또 그런 모순성이 어쩌면 인간의 본질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이 작품을 읽으면 인물들의 심리와 행동에서 그런 모순적인 부분들을 자주 엿볼 수 있는데, 이성적으로 설명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또 그렇기에 오히려 공감이 가는 듯한 느낌이 든다. 제목을 참 잘 지은 것 같다.

.

이 책의 한줄평으로 ‘결혼하면 다시 읽고 싶은 책’이라고 한 것은, <모순>에 나와있는 ‘사랑’에 대한 정의 때문이다. 진정한 사랑은 무엇일까 라는 질문은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슌킨 이야기>를 읽으면서 계속 머릿속에 남아있던 물음표였는데, <모순>을 읽으면서 그 답을 조금은 찾은 것 같기도 하고 오히려 그 물음표가 더 커진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나중에 내가 결혼을 하게 된다면, 그때 이 책을 다시 읽고 싶다고 한 것이다. 지금은 아직 이십대 중반이라는 어린 나이이기도 하고, 결혼할 때쯤 되면 그때의 나는 지금의 나보다는 조금 더 성숙해져있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다.

🗣 사랑이라고 여겨지지 않는 자에게는 스스럼없이 누추한 현실을 보일 수 있다. 얼마든지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사랑 앞에서는 그 일이 쉽지 않다.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이름의 자존심이었다. (220p)

.

이 작품에서 가장 주된 서사 중 하나가 ‘안진진’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앞선 문단에서 사랑에 관한 감상을 적은 것이고, 이 작품에는 사랑 말고도 가슴에 크게 와닿는 문장들이 정말 많았다. 이런 감각을 느낀 것은 조해진 작가님의 <단순한 진심>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그 문장들을 조금 옮겨 적으며 이 글을 마치려 한다. (너무도 훌륭한 수작에 나의 감상이 오히려 누가 될까 겁이 난다. 그냥 아묻따(?) 모두가 이 책을 꼭 읽기를 바란다.) 

🗣 사람들은 작은 상처는 오래 간직하고 큰 은혜는 얼른 망각해버린다. 상처는 꼭 받아야할 빚이라고 생각하고 큰 은혜는 얼른 망각해버린다. 상처는 꼭 받아야 할 빚이라고 생각하고 은혜는 꼭 돌려주지 않아도 될 빚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생의 장부책 계산을 그렇게 한다. (127p)

🗣 “낯설어 죽겠단 말야. 왜 그렇지? 장우씨는 알아? 갑자기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하나도 모르겠어. 무서워. 사는 법을 잊어버렸다구요. 사랑하면 이렇게 세상이 낯선거냐고…….” (202p)

🗣 나는 나인 것이다. 모든 인간이 똑같이 살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똑같이 살지 않기 위해 억지로 발버둥 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이제 나는 더 이상 나를 학대하지 않기로 했다. (217p)

🗣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건은 언제나 돌발적으로 일어난다. 이런 일이 현실로 드러날 줄은 알았지만, 그 일이 ‘오늘이나 내일’ 일어난다고는 믿지 않는다. 예감 속에 오늘이나 내일은 없다. 오직 ‘언젠가’만 있을 뿐이다. 매일매일이 오늘이거나 혹은 내일인데. (25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