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갈증 트리플 13
최미래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절 연휴 때가 되면 연례적으로 알라딘 중고서점을 방문하곤 하는데(명절 연휴 때마다 할인 행사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올해 설 연휴의 방문 때 발견했다. 책을 펼쳐보니 ‘녹색 갈증’이라는 제목이 특정 단편소설의 제목이 아니라 이 책을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제목이라는 걸 확인하고선 궁금증이 일어 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

자음과모음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트리플’ 시리즈 중에서는 아마도 유일하게 세 편이 아닌 네 편의 소설이 수록된 소설집, 더불어 독립적인 단편들의 모음집이 아닌 하나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연작 소설집이 바로 이번에 읽은 <녹색 갈증>인 듯하다. 그래서인지 여타 단편집과는 달리 호흡이 조금 긴 것처럼 느껴졌다.

.

소설에서 호흡이 긴 편이라는 것은 꼭 좋다고만, 혹은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 천차만별 다르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나의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호흡이 짧아서 장면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호흡이 긴 작품들을 선호하는 편이다. 짧은 호흡으로 전개되는 소설들은 뭐랄까, 조금은 정신없는 것처럼 느껴질 때도 있기 때문이다.

.

다만 <녹색 갈증>에 대해선 호흡이 길다고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이야기가 조금 산만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하나의 명확한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인물들의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는 듯한 전개여서 그런 듯하다. 마치 소설 속 주인공이 ‘이 얘기 했다가 저 얘기 했다가…’ 하는 듯한 느낌… 개인적으로 그다지 선호하는 소설의 전개방식은 아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집이 나쁘게만 느껴지지는 않았다. 물론 아쉬운 점은 앞서 말한산만한 전개말고도공감되지 않는 인물들의 심리등등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이 없진 않다. 하지만 책의 여운이 짙게 남는다는 점은 높이 사고 싶은 부분이다. 이유가 무엇인지는모르겠다. 글을 쓰는 지금까지도 명쾌하게 답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작품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인물들의 답답한 상황에 몰입이 되었기 때문일까, 어딘가 무의식 한켠의 내밀한 감정을 건드리는 작가님의 문체 때문일까. 이에 대한 답은 <녹색 갈증> 읽은 다른 사람들과 감상을 공유하면서 찾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