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터네이트 (노블판) - Alternate
가토 시게아키 지음, 김현화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터네이트> - 가토 시게아키

.

해당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한 개인적 감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나는 ‘학원물’ 장르의 작품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무언가 ‘성장소설’이라 하기도 애매하게 느껴지고, 로맨스나 추리 등의 특정 장르에 충실한 것도 아닌 듯하고… 아무튼 이래저래 나의 취향과는 맞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출판사로부터 이 작품을 받을 때에도 별 기대를 하지 않았다. 어차피 나랑 잘 맞지 않을 것이 불 보듯 뻔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 띠지에 적혀있는 ‘정용준 추천’이라는 말이 나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내가 사랑하는 정용준 작가님이 추천을??? 이건 못참지;;; 하는 마음으로 독서를 시작했다. (더불어 일반판과 노블판, 두 권이나 보내주신 출판사 담당자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소미미디어 최고❤️)

.

이 작품은 ‘얼터네이트’라는 고등학생 대상의 SNS를 소재로 하는 작품으로, 세 명의 주인공 각각의 서사가 교차되는 구조로 전개된다. 일종의 옴니버스 소설로도 볼 수도 있을 듯하고, 연작소설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정용준 추천’이라는 말을 믿고 약간의 기대감을 가진 채 독서를 시작했지만, 줄거리 자체는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타 작품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흔하디 흔한 이야기라고 느꼈다. 다만 이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얼터네이트’라는 소재에서 개인적으로 느낀 바가 있어 그 부분에 대한 감상을 적어볼까 한다.

.

🗣 “슬펐어. 난 딱히 인기인이 되고 싶었던 게 아냐. 그저 날 드러내고 싶었을 뿐이야. 그야 많은 사람들이 봐주면 기쁘잖아. 하지만 그게 첫째는 아니야. 좋아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해서 그걸 본 누군가가 기뻐해주면 기분이 좋겠다, 정도의 느낌이었어. 그 녀석은 그렇지 않았던 거지. 어떻게 하면 더 주목을 받을지, 그게 기준이 돼버렸어. (후략)“ (73p)

🗣️ “난 얼터네이트가 92.3 퍼센트로 표시했기 때문에 플로우했을 뿐이야. 내 직감같은 거야말로 나한테 있어 아무래도 상관없는 일이야.” (271p)

.

내가 인스타그램에 독후감을 남기기 시작한 것은 책의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기 때문이었다. 그때 당시에는 지금보다 ‘추리소설’ 같은 류의 장르 문학에 훨씬 편중된 독서를 했었기 때문에 책을 다 읽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내용이 머릿속에서 금방 휘발되어버리곤 했다. 그게 싫어서 완독할 때마다 감상을 억지로라도 한두줄 적은 것인데, 그게 하나둘 쌓이면서 팔로워가 늘고 협찬을 받기도 하는 등 지금의 상태가 되었다.

.

솔직히 말하자면 나름의 북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한 것이 내게 좋은 영향만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인스타 덕분에 한국문학이나 세계 고전문학, 나아가 인문교양서 등등 독서 범위가 훨씬 확장되기도 했고, 좋은 분들과 소통도 할 수 있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인스타를 하다보면 같은 책을 읽었더라도 훨씬 더 깊은 감상을 남기신 분들의 글을 보며 열등감 내지는 자기혐오감이 들 때도 있었고, 좋아요 수에 ‘일희일비’하여 감정 소모가 클 때도 있었다. (지금은 아님)

.

이 작품을 읽으면서, 특히 위에서 언급했던 문장들 속 주인공을 보면서 인스타에 감정적으로 많이 매몰되어있던 당시의 내 모습이 겹쳐 보였다. 물론 작중 인물과 내가 SNS에게서 받은 영향이 서로 다른 종류이기는 하지만, SNS가 가지고 있는 양면적인 영향력을 느꼈다는 것 자체는 주인공과 나 둘 다 비슷한 맥락이지 않을까 싶다. 

.

그래서 내가 내린 결론은, (어떤 분들은 SNS 속 타인의 모습(혹은 글)을 보며 오히려 힘을 받아 계정을 더욱 활발하게 운영하는 원동력으로 삼겠지만,) 나는 오히려 인스타와 거리를 두려는 노력을 해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했다.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독서 기록용이라고, 속으로 계속 되뇌이면서 나름의 마인드컨트롤을 했었다. 

.

덕에 지금은 열등감이나 자기혐오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끼지 않는 같다. 다른 사람이 어떻든지 간에 타인과 나를 비교해가며 스스로를 우울의 늪에 빠뜨리지 말고, 그냥 나는 길이나 가자고 생각하니 이전보다 속이 훨씬 편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