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

<폭풍의 언덕>은 ‘캐서린’이라는 한 여자만을 사랑한 어떤 남자 ‘히스클리프’의 처절하고 지독한 복수극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이 쓰였던 당시의 시대적인 정서와 배경을 고려한다면, 드라마 <펜트하우스>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로 그의 복수는 잔인하고 가혹하다. 작품에는 ‘워더링 하이츠’라는 야성의 세계와 ‘스러시크로스 저택’이라는 교양의 세계를 대조시키는 듯 두 공간적 배경이 주로 나오지만, ‘히스클리프’를 통해 두 공간이 결합되며 몰락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을 잃은 후에는 완전히 눈이 뒤집혀 그곳에 있는 사람들을 모두 죽게 하거나(직접 죽이지는 않는다) 모질게 괴롭히면서 삶의 의미를 찾는 수준으로 그의 삶의 태도는 변모한다. 그렇기 때문에 복수를 완성했을 때의 ‘히스클리프’는 복수를 성공했다는 것에 대한 성취감 및 기쁨을 누리기는 커녕 허탈하고 공허하기만 하다. 일련의 과정을 바라본 독자들은 비단 이렇게까지 해야할 일인가하는 생각도 들 것이다. 그러나 목적을 위해 벌여야 하는 수단이 있을 때 그에 지나치게 몰입하다보면 수단이 목적을 앞서는 경험이 한번쯤은 다들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를 고려한다면 복수에 눈이 돌아간 ‘히스클리프’를 비난만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

한가지 더 말하고 싶은 부분은, <폭풍의 언덕>의 서술 구조가 상당히 독특하다는 점이다. 중고등학생 때 문학시간에 ‘소설의 시점’에 대해 배운 적이 있고, 그때는 아마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에 대해 배웠을 것 같다. 하지만 <폭풍의 언덕>은 2인칭 시점으로 전개된다고 말하고 싶다. 작품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은 ‘캐서린’과 ‘히스클리프’이지만, 그들이 직접 서술자로써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저택에 세 들어와 살고 있는 ‘록우드’와 가정부 ‘넬리’의 대화에서, ‘넬리’가 가정부로서 그들을 회상하며 ‘록우드’에게 과거의 사건들을 알려주는 듯한 방식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히 낯설기도 하고, 초반에 적응되지 않았을 때에는 지루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물론 그 지루함을 느끼게 된 것에는 어디까지나 나 자신의 부족함 때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