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에 대하여 - 박상영 연작소설
박상영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믿음에 대하여> - 박상영 ⭐️

.

지금까지 읽은 박상영 작가님의 작품은 얼마 전에 피드를 올린 <1차원이 되고 싶어>와 더불어 <대도시의 사랑법>, 이렇게 총 두 권이다. 두 권 모두 공통적으로 성적 소수자(게이)의 사랑을 다룬 작품들로서, 단지 인물들의 나잇대가 20대냐(대도시의 사랑법), 10대냐(1차원이 되고 싶어)의 차이 그리고 분량이 장편이냐 단편이냐 정도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읽은 <믿음에 대하여>는 앞선 두 권과 상당 부분에서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

읽으면서 느껴졌던 (전작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작품의 ‘초점’이었다. <대도시의 사랑법>이나 <1차원이 되고 싶어> 모두 ‘사랑’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가 전개되었다면, <믿음에 대하여>는 보다 더 현실적인 소재들과, ‘사랑’에 걸림돌이 되는 듯한 외적 요인에 집중하는 듯했다. 대표적인 예로 표제작 <믿음에 대하여>의 ‘임철우’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철우’는 이태원에서 이자카야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로, 코로나로 인해 ‘매출 폭락’이라는 직격탄을 맞는다. 더군다나 이자카야의 주소지도 하필 ‘이태원’이다. 다들 기억할지 모르겠다. 코로나가 창궐하기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태원의 어느 게이 클럽에서 이른바 ‘슈퍼 전파’가 일어났던 것을. 

.

그 시기에 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진되었던 사람들 중 강제 아웃팅이 되던 경우도 있었고, 그 때문에 확진되었음에도 검사를 받지 않고 숨어 지내던 사람들도 있었다고 들었다. 때문에 그 시기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게이들을 싸잡아 욕하기도 했고, 그 탓에 이태원의 상권은 90% 가량이 떨어지게 되기도 했다. 박상영 작가님은 이런 현실적인 요소들을 <믿음에 대하여>에서 여실히 드러내었다. 나는 군 복무 시절, 훈련소에 있을 때 그 소식을 들으며 ‘이 시국에 클럽을 왜 가냐’면서 화를 내었던 기억이 있는데, 실은 클럽을 갔다는 사실 자체에 화를 낸 것이 아니라, 게이들을 싸잡아서 그들이 문제라고 욕을 했던 것 같다. 양심의 가책이 많이 느껴졌다. 

.

지금까지 퀴어 문학을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의 취향에 대해 말해보자면, 그들의 사랑 자체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작품 보다는,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의 냉담한 시선들을 고발하듯 그려내어 읽는 이로 하여금 반성하게 만드는 작품을 더 좋아하는 것 같다. 그런 면에서 <믿음에 대하여>는 정말 좋았다. 읽는 동안에는 가독성도 좋고 술술 읽히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지만, 다 읽은 뒤에는 지금까지의 나 자신의 사고방식을 반성하게 만드는 그런 작품이었다. 

.

덧. 거의 출간되자마자 바로 책을 구매했기 때문에, 사은품으로 ‘북토크 초대권’을 받아 그곳에 가서 작품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기억에 남는 이야기 중 하나가 바로 기자님들과의 일화이다. 작가님은 이 작품으로 문학 기자분들과 많은 인터뷰를 하셨다고 하는데, 이번에 유독 1-5년차의 신입 기자분들을 많이 뵈었고, 그분들께 ‘사회생활의 PTSD를 느꼈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 그만큼 <믿음에 대하여>는 사회 초년생들의 애달픈 사회 생활의 시작을 하이퍼리얼리즘 틱한 생생한 묘사로 그려내어 씁쓸한 공감과 위로를 많이 불러일으켰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