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이 되고 싶어 (0차원 에디션)
박상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차원이 되고 싶어> - 박상영 ⭐️

.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책을 읽는다면 약간의 불안을 안게 될 텐데,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박상영’ 이름 세 글자만 보더라도 그 작품에 대한 대략적인 감이 오기 때문이다. 그만큼 박상영 작가님은 본인만의 작품 세계를 탄탄하게 구축하셨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읽은 <1차원이 되고 싶어> 역시 박상영 작가님만의 분위기를 여지없이 느낄 수 있었던 퀴어문학이었다. 다만 전작 <대도시의 사랑법>이 마라맛(?) 어른들의 사랑이야기였다면 이 작품은 10대 청소년들의 순한맛 사랑이야기이다.

.

‘윤도’를 좋아하는 주인공 ‘해리(이름 아니고 별명)’의 시점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딱히 내용 요약을 길게 하지 않아도 이정도면 충분한 것 같아서 줄거리 소개보다는 나의 감상 위주로 글을 써보려 한다. 가장 먼저 말하고 싶은 점은 조해진 작가님의 <여름을 지나가다>와의 비교를 통해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작품을 읽기 직전에 <여름을 지나가다>를 읽었기 때문에 둘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쉬웠다.) 두 작품에서는 인물들이 모두 어둡고 우울한 상황에 처해있다. <1차원이 되고 싶어>를 위주로 말해보자면 좋아하는 사람이 있음에도 대놓고 좋아할 수 없다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에게 그 점을 들킨다든지, 혹은 IMF로 인해 가정의 경제적 파탄을 맞게 된다든지 등등 중학생이 감당해내기엔 상당히 암울하고 버거워보인다. <여름을 지나가다>도 인물들이 힘든 상황에 처해있는 것은 비슷하다.

.

하지만 그를 풀어낸 방식이 전혀 달랐다. <여름을 지나가다>는 그런 우울하고 부정적인 상황을 그대로 조명하거나 심지어는 더욱 강조하기까지 하여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우울함의 감정을 극도로 끌어올리는 듯하다. 하지만 <1차원이 되고싶어>의 경우에는 주인공이 본인의 상황을 약간의 조소와 함께 덤덤하게 말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런 상황이 부정적이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아니다. 별일 아니라는 듯 말하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역설적으로 그가 처한 힘듦을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말하고 싶었던 이유는 <1차원이 되고 싶어>의 방식이 나와 더 잘 맞기 때문이다. 대놓고 ‘우울하다’ 식으로 전개되는 것보다 ‘그냥 그래’하고 심상히 말함으로써 그 우울이랄지 힘듦의 감정이 더욱 극대화되는 것 같아서 이 작품을 되게 재밌게 그리고 깊이 있게 읽을 수 있었다.

.

사실 이 작품엔 주인공과 ‘윤도’ 외에 중요한 인물이 몇 명 더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태리’라는 인물에 내 모습이 많이 겹쳐보여서 그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일단 ‘태리’라는 인물에 대해 설명을 조금 해보자면, ‘태리’는 주인공을 형처럼 생각하는 동갑내기 사촌지간이다. 어렸을 때부터 주인공을 잘 따랐고, 같은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어 매우 기뻐하곤 했다. 사실 ‘태리’는 학교 폭력을 심하게 당하던 학생이었는데, 학폭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종종 주인공을 찾아오곤 하지만 주인공에게 태리는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었다. 태리와 친하게 지내면 본인도 따돌림을 당할 것을 걱정하여 주인공은 태리를 모른척 하거나, 일부러 다른 친구들과 붙어있는 모습을 보이고, 그때마다 태리는 씁쓸하게 본인 교실로 돌아가곤 한다.

.

이제 부끄럽지만 나의 이야기를 조금 해볼까 한다. 물론 내가 ‘태리’처럼 학교 폭력을 심하게 당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는 모두와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는 성격이 못되고, 그저 같은 반 한두명 하고만 깊이 지내는 터라 나의 학교생활은 그 친구들의 존재에 많이 의존하곤 했다. 친하게 지내는 친구가 아파서 결석을 하거나 방송반 활동 등으로 학교 생활을 빠지게 된다면, 나는 ‘혼자’라는 고통 속에 그 하루를 정말 힘겹게 보냈다. 지금이야 뭐 혼자서 영화도 보고 빕스도 가고 1인 생활의 거의 만렙(?)이 되었지만, 중고등학생 때의 나는 ‘혼자’가 되는 것을 극도로 견디기 힘들어했던 것 같다. 그때의 나를 지금의 내가 완벽하게 알진 못하겠지만, 왕따’처럼 보이는 게 두려워서였을지, 주변에는 친구들과 하하호호 하며 행복해보이는 다른 아이들의 모습과 내가 비교되어서 그랬는지, 그런 비스무리한 이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

.

그래서 본인의 교실로 터벅터벅 돌아가는 ‘태리’의 모습을 보며 너무 가슴 아팠다. 아…… 나는 그 친구들에게 많이 기대었는데 그 친구들에게 나는 그저 숱하게 많은 친구 중 하나였겠구나, 나랑만 친하게 지내길 바라는 나의 마음이 부담이 되거나 귀찮았을 수 있었겠구나, 나는 그들에게 ‘의지’했는데 그들은 내가 ‘의존’하는 것처럼 보였겠구나 싶었다. ‘태리’의 모습에서 나의 중학교 시절이 겹쳐보여 너무 슬프고 또 아픈 공감을 했다. 쓰다보니 술 먹고 쓴 것처럼 주저리주저리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어찌됐든 이 작품은 내게 정말 좋았던 작품이었다. 이야기의 전개니 개연성이니 문장들 뭐 그런 것들 차치하고, 읽으면서 마음이 많이 동했고 위로를 받기도 했던지라 <1차원이 되고 싶어>는 내게 그저 좋은 인상으로 남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