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맨은 벨을 두번 울린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9
제임스 M. 케인 지음, 이만식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스트맨은 벨을 울린다> - 제임스 M. 케인

.

최근 고전 세계문학을 (나름) 많이 읽었다. <동물농장>으로 입문하게 고전 문학의 세계는 현대의 문학과는 다른 매력들이 가득했다. 이에 대한 알고리즘(?)으로 세계문학 전집을 출간하고 있는 출판사민음사 유튜브 채널을 정주행한 적이 있다. 민음사답게 세계문학 전집 몇몇 작품들을 추천하는 영상을 접했는데, 영상에서 언급된 하나가 바로 <포스트맨은 벨을 울린다>이다. 책에 대해 알아보니장강명작가님이 본인의 인생책으로 책을 언급했던 것을 보게 되어 곧바로 읽기 시작했다.

.

줄거리는 단순하다. 아내와 내연남이 협력하여 남편을 죽이는 내용이다. 물론 죽이면서 끝나는 아니라 후의 내용도 전개된다. 그런데 제목은 전체 줄거리와 어울리지 않는 <포스트맨은 벨을 울린다> 였을까? 완독한 후에도 질문에 대한 답을 없었지만, 작품 해설에 해답이 있었다. 작가는 책의 원고를 여러 출판사에 돌렸지만, 상당히 자극적인 내용 때문인지 퇴짜를 맞기 일쑤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출판사에서 보내는 (출간 여부에 대한) 답장을 배달하는 우체부를 계속 기다리는 작가 자신의 처지가 작품 주인공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때문에 자신의 집을 방문할 벨을 울리는 우체부를 떠올리며 작품의 제목을 정했다고 한다

.

작품은하드보일드 문학으로서 매우 간결한 문체로 쓰여있다. 조금 직설적으로 얘기하자면, 인물들의 심리나 주변 배경에 대한 묘사 따위 집어치우고 오로지 이야기의 전개에 필요한 문장만으로 책을 느낌이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장단점이 명확했다. 먼저 장점의 경우에는, 전개가 무척 빨라서 책을 손에서 놓을 없게 만들었다. 민음사 유튜브 영상에서는재미 기준으로 했을 추천한 작품이 바로 책이었는데, 확실히 재밌게 읽었다. 자극적인 소재 자체가 주는 재미도 있었지만, 휘몰아치는 이야기의 진행 속도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것도 무척 좋았다.

.

하지만 단점도 느껴졌는데, 바로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없을 때가 있었다는 것이다. 어떤 인물의 행동이 주인공들에게 영향을 끼치는데, 인물이 이런 행동을 저질렀는지가 나오지 않아서 당황스러웠다. 아마도 인물들의 심리에 대한 서술이 부족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나 싶었다. 하지만 이런 간결한 문체 덕분에 독자의 입장으로서 인물이 이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해 추측을 해보는 색다른 재미도 느낄 있었다.

.

책을 읽고 나니, 최근에 사회적으로 화두에 오른가평 계곡 살인사건 떠올랐다. 사건의 내용도 작품처럼 아내와 내연남이 남편을 죽였다는 것이다. 지금 사건의 용의자들은 지명 수배범이 것까지 진행되었다고 들었다. 물론 이들은 당연히 체포되어 본인들이 저지른 짓에 대한 처벌을 받아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만약에 체포되지 않는다면 어떨까. 계속 숨어서 지낸다고 하더라도 살인을 같이한 이들이 서로를 믿으며 행복을 유지할 있을까. <포스트맨은 벨을 울린다> 읽으며, 이들의 미래를 보는 것만 같았다. 사회적으로 사건이 이슈가 지금이야말로 작품을 읽기에 아주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