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가난이라든가 복지에 대한 기사가 나오면 '네가 노력해서 부자가 되면 해결된다' 든가, '비정규직이라고 우는 소리말고, 노력해서 정규직이 되면 해결이지, 뭐 그렇게 복잡하게 생각해' 등 등의 댓글이 기다렸다는 듯이 나옵니다.그런데 이런 사고방식은 동서고금을 통해 역사가 꽤 깊은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프랑소아 기조가 한 말입니다.
프랑소아 기조는 1840~1848년의 프랑스 내각 지도자인데, 당시 유럽에서 보통선거를 요구하는 흐름에 거부감을 지닌 정치가로 지금도 인구에 회자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이 사나이도 원래는 소르본느 대학 역사학 교수라는 일급의 지식인이었고, 게다가 샤를르 10세의 반동통치를 규탄하다가 대학에서 교수직을 쫓겨난 일도 있는 시국사범 출신이었습니다.기조가 집권하던 시대는 일정 정도 재산이 있는 남자에게만 투표권이 있던 때였는데, 보통선거를 주장하는 이들에게 기조가 무어라고 했는고 하니..."일해서 부자가 되어라. 그러면 유권자가 될 수 있다" 고 했지요.
비정규직으로 일하다가 부당해고 당한 노동자들이 시위하는 현장을 어린 딸과 함께 지나던 젊은 엄마에게 어린 딸이 묻습니다."저 사람들은 왜 저래? " 그러자 엄마 왈, "너같이 공부 안 하면 저런 아저씨같은 사람한테 시집간다. 그러니 공부 좀 열심히 해라!" 그러고 보니 어느 여학교에 이런 교훈이 있다고 합니다." 좀더 열심히 공부하면 남편 직업이 바뀐다"
무당들은 귀신을 모신다며, 집에 유명한 사람들의 초상화를 모셔놓습니다. 우리나라에도 관우나 맥아더의 귀신을 모셔놓은 무당들이 많지요. 또 일제시대 때는 천황이 사는 곳을 향해 고개를 숙이는 궁성요배라는 의식을 하기도 했습니다.기조가 보통선거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한 말을 안다면, 요즘에도 기조의 초상화를 집에 모셔두거나 기조가 묻혀있는 묘를 향해서 고개를 숙이고 싶은 사람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더군다나 프랑소아 기조는 이름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아서 외우기가 쉬우니 마음의 스승으로 모시기도 쉽겠지요.
"일해서 부자가 되어라. 그러면 유권자가 될 수 있다" .이런 사고방식이 19세기를 넘어 21세기가 된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끈질긴 생명력에 경탄을 금치 못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