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 통곡하는 한
야엘 아쌍 지음, 권지현 옮김 / 반디출판사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이런 소재의 글은 참 불편하다.
오랜 시간을 지속해온 일이고, 이젠 누가 가해자고 누가 피해자인지, 누가 침략했고 누가 침략을 당한건지, 누구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지, 정말 조심스럽다.
그들의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나로서는 아무 생각과 판단을 할 수 없는 부분이다.
과거에 그러했고, 현재 그러하며, 미래에는 어떤 모습으로 그들을 힘들게 할지,
도무지 생각할 수 없는 문제다.

둘도 없는 친구, 유대인 사미와 아랍인 카말, 
그들은 둘도 없는 친구였는데, 한 사건으로 서먹서먹해진다.
유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폭행을 당한 사미, 그렇게 조용히 떠나기로 혼자 결정해버리고, 그것이 카말은 내심 서운하다.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해야하는 것인지, 사회적인 상황과 연관이 되니 마음이 무거워진다.

“폭력은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한다. 아들아, 평화를 만드는 건 대화야.”
“퍽도 그렇겠어요. 그 사람들이 우리 민족을 다 죽여 없애는 동안 아버지는 그 사람들하고 수다나 떠세요!”(70p)

상황이 사람을 만든다.
아이의 반응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

부모님 세대의 어른들 대부분이 하는 그런 말이 인티사르를 폭발하게 했다.
젊은이들은 그런 어른들이 부끄러웠다. 바로 그런 이유로 젊은이들이 저항을 이끄는 것이다. 
적에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정신 차리라고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폭력밖에 없다고 믿었다. (96p)
세대간의 소통 불가능한 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현실, 답답한 현실을 느끼게 된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막막한 마음에 먹먹한 느낌이 든다.
불편한 진실, 알아야 할 현실이지만, 읽는 마음은 편안하지가 않다.
그것도 밝은 미래를 꿈꿔야하는 아이들에게 현실은 녹록치 않음을 느낀다.
아이러니한 마지막 부분에 한참을 멍하니 생각에 잠긴다.

“피와 눈물은 이것으로 충분합니다. 이제 그만!” (이츠하크 라빈)
“여기서 멈추지 않는 한, 땅이 통곡하는 한, 아이들은 죽어나갈 것이다.” <하레츠>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문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