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아이 트리혼 동화는 내 친구 52
플로렌스 패리 하이드 지음, 에드워드 고리 그림, 이주희 옮김 / 논장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이상한 나라 앨리스>를 보다가 버섯을 먹고 커지는 장면에서 정말 재미있어하던 기억이 납니다.
어린 아이들에게 일상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상상은 재미있는 일이지요.
갑자기 어느날,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색깔이 변하거나......상상만으로도 흥미롭습니다.

이 책 <줄어드는 아이 트리혼>은 어느 날 트리혼에게 일어나는 일상적이지 않은 이야기랍니다.
어느 날 트리혼의 몸이 갑자기 줄어들었답니다.
늘 닿던 벽장에 손이 닿지 않아 이상하게 생각했는데, 옷이 너무 커져버렸습니다.
트리혼의 부모님은 그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트리혼이 장난을 치는 줄 아신답니다.
어른들의 무관심에도 트리혼은 자신의 상황에 잘 대처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시 원 상태로 돌아온 트리혼은 그 다음에 색깔이 바뀌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트리혼은 어떻게 할까요?

이 책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첫 번째, 트리혼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잘 이겨냅니다.
도움을 받기 보다는 스스로 헤쳐나가는 모습에서 자립심을 배울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부모의 역할입니다.
아이에게는 심각한 문제이지만, 부모는 그것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그저 아이의 장난이라고 가볍게 여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에게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고, 고민을 들어주고, 함께 해결책을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마지막으로는 가족의 모습입니다.
트리혼은 처음에 부모님께 자신의 상황을 이야기하지만, 부모님은 대수롭지 않게 넘어갑니다.
그래서 그 다음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아야지. 내가 아무 말 안 하면 아무도 모를거야."라고 혼자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커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가족의 모습은 서로의 속마음을 얘기하지 못하고 단절되게 됩니다.
적어도 가족은 서로 이해하고, 서로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완벽한 가족은 없겠지요.
그런데 이 작가가 이렇게 마음에 안드는 부모의 모습을 책에 담은 것은 왜일까요?
그런 부모는 이 책을 읽고 뜨끔할 것입니다.
어쩌면 그걸 원한걸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트리혼은 자신에게 처한 상황에서 잘 극복했고, 커서도 독립적으로 잘 살아갈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