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을 지휘하라 - 지속 가능한 창조와 혁신을 이끄는 힘, 확장판
에드 캣멀.에이미 월러스 지음, 윤태경.조기준 옮김 / 와이즈베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왜 어떤 애니메이션은 시간이 지나도 생생하게 기억되는데, 어떤 애니메이션은 금방 잊힐까? <겨울왕국>, <인사이드 아웃> 같은 작품은 감정을 건드리는 힘을 가졌다. 하지만 처음부터 지금의 감동적인 이야기였던 것은 아니다. 수없이 다듬고, 버리고, 다시 쌓아 올리는 과정을 거쳐야만 지금의 형태가 될 수 있었다. 픽사는 이를 위해 독특한 협업 시스템을 만들어냈고, 그 핵심에는 브레인트러스트 회의가 있었다.

브레인트러스트는 픽사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창의적 검토 과정이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 특정 시점마다 주요 제작진이 모여 현재까지의 작업을 살펴보고, 각자의 시선에서 솔직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중요한 점은 이 회의가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는 것이다. 모든 피드백은 창작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감독이나 작가가 의견을 강요받지 않으며, 아이디어를 다듬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제로 <겨울왕국>의 엘사 캐릭터는 초기 기획 단계에서 전형적인 악역이었다. 얼음 마법을 가진 강력한 존재로서 주인공 안나와 대립하는 설정이었다. 하지만 브레인 트러스트 회의를 거치면서 엘사의 내면적 갈등이 더 부각되었고, 마침내 우리가 아는 두려움을 극복하는 여왕이라는 캐릭터가 탄생했다. 이는 작은 설정 변경이 아니라, 영화의 메시지 자체를 새롭게 다듬은 과정이었다.

<인사이드 아웃> 역시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초기 기획 단계에서 기쁨과 슬픔의 역할은 지금과 크게 달랐다. 원래 슬픔은 이야기에서 부차적인 역할이었지만, 브레인트러스트의 피드백을 통해 감정의 균형과 성장이라는 핵심 주제가 더욱 선명해졌다. 픽사는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각본을 수정했고, 그 결과 전 세계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작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창의적 협업 시스템이 가능했던 이유는 픽사가 실패를 바라보는 방식 덕분이다. 픽사는 ‘처음부터 훌륭한 아이디어’라는 개념을 믿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아이디어는 처음에는 미완성일 수밖에 없다"고 전제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더 나은 방향을 찾아가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실패는 두려워할 대상이 아니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받아들여진다.

픽사의 공동 창립자이자 이 책의 저자인 에드 캣멀은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조직을 운영했다. 그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기술적 혁신에만 의존해서는 지속적으로 뛰어난 작품을 만들어낼 수 없다고 강조한다.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도전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픽사는 기업 운영 방식보다는 창의성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문화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에드 캣멀이 스티브 잡스와의 관계를 회고하는 장면이다. 그는 초기에 잡스의 강한 추진력과 직설적인 태도에 어려움을 느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독특한 리더십이 픽사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깨닫는다. 잡스는 단순히 자기 의견을 밀어붙이는 사람이 아니라, 본질적인 문제를 파고들며 더 나은 해결책을 찾도록 이끄는 사람이었다. 그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에 반박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이를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갔다.

『창의성을 지휘하라』는 경영 지침서를 넘어 창작의 본질을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다. 이 책은 조직을 운영하는 리더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작업을 하는 모든 이들에게 깊은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픽사의 성공은 우연이 아니었다. 그것은 치열한 고민과 피드백,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창의성을 키우는 것이 개인의 능력 문제가 아니라,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창의성을 이끄는 일은 좋은 아이디어를 한 번에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과정 자체를 만들어가는 일이다. 픽사가 보여준 것처럼, 창작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뛰어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시행착오를 거치며 점점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창의적인 조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그것을 지속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