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홍의 황금시대 - 긴 사랑의 여정을 떠나다
추이칭 지음, 정영선 외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천재적인 여성 작가, 31세에 아스러이 져가면서도 천재적인 재능으로 100여편의 작품을 남긴 작가 샤오홍의 이야기.

사실 중국작가다보니 루쉰 등을 제외하고는 책 속 등장인물들이 다 처음 듣는 이름들이었다. 

이 책은 소설은 아니고 샤오홍의 평전 같은? 그런 이야기이다. 유명한 작가의 실화를 다루고 있는 이야기.

 

시대를 잘못 타고 태어난 그녀.

성격은 여리여리했으나 자유분방하게 자신의 주관대로 살고 싶었던 그녀. 현대에 태어났더라면 이렇게 비극적으로 엇나가기까진 않았겠지만 그래도 그녀의 어린시절에 할아버지의 깊은 사랑이 있었기에 그녀는 행복한 시절이 있었노라 말할 수 있었을 것이다.

 

소설을 좋아하기에 잘 알지도 못하는 중국 여성 작가의 일대기를 들여다본다는게 사실 그리 재미나지 않을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기대했던 것 이상의 흥미를 얻었다.

탕웨이 주연의 영화로도 올해 개봉되었다는데, 영화의 특성상 책보다 쉽게 몰입은 되었겠지만 이번 작품은 영화보다는 책이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여행길에 오며가며 읽다가 아침에 다 못 읽은 책을 마저 읽어내려간책.

 

우리나라의 허난설헌. 글쓰는 재주가 빼어난 그녀였으나 실제 남편에게서는 여인으로써의 깊이있는 사랑을 얻지도 못했고 천재적인 그녀의 능력을 발휘하기에는 시대가 뒷받침을 제대로 해줄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그보다 한참 후인 근대의 이야기라고는 하나, 중국의 시대상도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 비해 그리 크게 나을바는 없었나보다.

남존여비가 여전히 존재했고, 어린 나이에도 여성들은 부모가 점지해준 짝과 정략결혼을 해야했다.

신식 교육을 받긴 하였으나 샤오홍 역시 부모가 정해준 짝과 결혼을 해야할 상황이었다.

상대가 싫은 것은 아니었지만 부모의 강요로 잘 모르는 사람과 결혼하는게 싫었던 샤오홍은 유부남 동기와 사랑의 도피를 하는가 하면, 아버지와 의절을 하면서까지 가출해서 유복한 삶을 스스로 끊어버렸다. 나름 지주집안의 딸이었으나 도시에서 가난하게 삶을 살게 된 그녀의 삶이 파란만장할 수 밖에 없었다.

 

놀라운 것은 그녀가 몇번이고 도망을 쳤던 바로 그 남자, 약혼자를 우연히 만나 그와 동거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너무 가난해 우연히 스친 그의 도움을 거절할 수 없었고 그렇게 결혼할뻔했으나 결혼하지 못한 두 사람은 동거를 시작하고 아기를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해피엔딩이 되었을법도 한데.. 가난해서 출산하기 힘든 아내의 출산비용을 마련하겠노라 시골에 내려간 약혼자는 돌아오지 않았다. 이게 무슨 일인지.. 음, 사실이 어찌 되었는지는 몰라도 책에 쓰여진 내용을 보면, 사실 샤오홍은 자유분방한 연애를 즐긴 그런 여인이었다기보다는 그녀의 감정에 보다 솔직했고, 어느 것 하나 함부로 하지 않은 사랑 하나하나가 다 이유가 있고 인연이 있을 법한 그런 인연들이었다. 몇번을 파토낸 결혼, 하지만 이어지고 싶었던 그 인연은 동거 후 임신한 그녀를 남편이 버리고 간 결과만 남았지만.

책에서는 그가 그래도 따뜻한 사람이었음을. 그녀에게는 정말 힘들때 힘이되어줬던 사람이었음을. 하지만 돌아오지못한 사정은 실려있지않았다.

 

그리고, 여관에 홀로 남겨진 만삭의 임산부는 실로 위태로운 처지가 된다.

진흙탕에 던져졌을지언정 천부적인 재능은 숨길 수 없었던 그녀는 신문사에 자신의 힘든 처지를 편지로 알리게 되고, 다들 딱하다 생각은 하나 외면하고 말 처지에 샤오쥔이라는 한 호방한 직원이 그녀의 편지를 접하고 여관으로 그녀의 실상을 물색하러 오기에 이른다. 다른 사람의 아기를 임신하고, 창고같은 썩은내 진동하는 방 아닌 방에 위태롭게 있던 그녀. 가난하지만 그녀에게서는 다른 여인과 다른 그 무언가가 있었다. 그녀가 그린 그림, 그리고 쓴 시 구절을 보고, 그는 그대로 그녀에게 반하고 말았다.

 

가난한 문인이었던 샤오쥔 역시 샤오홍과 행복한 삶만을 꿈꿀수는 없었다.

달콤했던 신혼의 시절도 잠시.

워낙 살림이 궁핍하다보니 직장에서 쫓겨나고나자 가정교사를 해야했고, 사랑도 현실앞에선 힘들수밖에 없음이 밝혀지지만

워낙 자존감이 강한 그녀는 그래도 살림이 유복하고 정신적으로는 속박된 생활보다 자신 스스로가 선택한 생활이 더 행복하다 생각을 한다.

그리고 그녀를 본격적으로 문단에 데뷔시킨것도 샤오쥔이었다. 친구들은 그 둘의 사랑을 정말 최고의 로맨스라 생각하고 자유연애의 선봉이라 생각하지만, 그랬던 그들의 사랑은 사실 오래 가질 못한다. 그녀 외에도 다른 여인들까지 두루 사랑하는 샤오쥔, 그리고 자신보다 늦게 시작했기에 스스로 자꾸 내 아래라고 생각한 자신의 여자가 실제 자신보다 더 크게 성장해나가니 그 사실을 인정하기 힘들었던 샤오쥔.

가장 믿고 지지해줘야할 자신의 짝이 자신을 가장 폄하한다는 것은 실로 너무나 암울한 일이었을것이다. 그럼에도 그녀는 그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 오래 애를 쓴다.

 

현대시대를 살아가면서도 다소 보수적인 면이 있는 나로써는 사실 여러 남자를 사랑한 그녀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었을 터인데..

이 책에서는 그녀의 그런 연애들이.. 그냥 연애를 위한 연애가 아닌, 운명처럼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그런 상황들까지 뒷받침해서 설명해주고 있기에

그녀에 대해 폄하하는 기분보다는 공감하게 만드는 그런 대목들이 많았다. 아무래도 대가에 대한 호감이 이 글을 쓴 작가에게 있어서일까

그녀에 대한 애잔한 기분 같은 것을 많이 배려해서 썼다는 느낌.

 

그래서 샤오쥔에 대한.. 나중에는 바람까지 피우고 그녀에게 손찌검까지 하면서도 버젓이 그녀의 남편 행세를 유지하려고 한 샤오쥔에 대한 이 글을 쓴 작가의 비호감에도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 같은 여자로써 나조차도 그런 생각이 들었으니까.

 

그리고, 사람들은 좀 덜 비중있게 생각했을지언정, 그녀보다 한살 연하에 총각이었던 두안무가 처음으로 그녀에게 제대로 청혼을 하고,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게 해주기 위해 노력한 부분은 가슴이 벅차오게 하는 대목이었다. 그녀의 남은 생애를 옆에서 보필해주진 못했지만 그 나름으로는 그녀에게 가장 최선을 다하는 깊이있는 사랑을 했을지언데..

그녀와 샤오쥔의 원래 친구들은 두안무를 인정해주지 않는다. 그녀가 열열이 그의 사랑에 감복했을지라도 말이다. 책임감있는 남자의 사랑이 무엇인지를 보여준 두안무.

 

그리고 그녀가 부모에게 받지 못한 사랑을 할아버지가 보여주고 그녀의 소중함을 일깨워줬듯이..

그녀는 자라서 만난 남자들에게서 그런 안정된 사랑을 받길 원했는데 육체적인 사랑으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할아버지에게 받은 사랑 같은 사랑을 준 사람은 대작가 루쉰이 아니었나 싶다. 그녀가 철없는 딸처럼 그에게 응석을 부리듯 자주 방문하게 한것도, 그리고 자신의 옷차림에도 관심없던 루쉰이 그녀에게만큼은 어울리고 안어울리고를 지적해줄정도로, 그녀의 책에 그가 직접 추천사를 적어주고 자비 출판을 해줄정도로 그녀는 아끼는 제자이자 딸같은 존재가 되었을테고, 그녀에게는 그녀가 찾아헤메던 할아버지와같은 그런 사랑의 대상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런가하면 생의 마지막을 장식할 44일간, 그녀의 남편이 병원비 생활비를 버느라 그녀의 마지막을 지켜주지 못할 적에 전쟁통의 위험한 상황 속에서도 그녀의 곁을 지켜준 소중한 이가 또 있었다. 뤄빈지. 동생이 추천해준, 누나에게 키워달라 신경써달라 부탁했던 햇병아리 작가였던 그 청년은 나중에 아이러니하게도 그녀의 마지막 44일간을 지켜준 소중한 인연이 되어준다.

 

남자 작가였다면 그의 사랑에 대해 세상이 좀더 온화한 느낌으로 대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샤오홍은 여성이었고, 그가 살았던 시대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마음껏 기를 펼 수 없던 시기였기에 놀라운 재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남자에게서조차 제대로 된 인정을 받을수도 없었다. 그녀가 만난 사랑들이 스쳐지나가는 인연이 아닌, 그녀에게는 다 당위성이 있는 사랑들이었을텐데, 세상이 보는 시선은 그리 달가운 시선만은 아니었다.

31세라는 너무 이른 나이에 세상의 모든 풍파를 다 겪은듯, 동갑의 다른 여인들에 비해 좀더 힘들었던 삶을 살았던, 하지만 자신이 만나 사랑했던 이들과의 행복했던 그 시간들을 되돌려본다면 그렇게 힘들기만 한 시간들은 아니었을 것 같은 그녀의 이야기.

 

시간 순서는 좀 섞여있을 지언정, 이야기는 충분히 매력적인 그런 일대기였기에 재미나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