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온다 - 청춘의 오해와 착각을 깨는 질문과 답
윤성식 지음 / 예담 / 2013년 6월
평점 :

예전에는 지옥같은 10대 아니, 고3을 보내고 나면 화려하게 꽃필 대학생활이 기다리고 있다 했었다. 요즘 세대들은 그렇지만도 않다. 대학을 다닐때 취업때문에 더욱 치열한 삶을 보내야한다. 전문직이 아니라면 고시에 패스한다거나,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한다거나 대기업에 취직하기 위해서라면 소위 스펙 쌓기라는 것들을 하기 위해 20대의 청춘은 시들시들해져 가고 있다.
사막같은 20대라. 띠지에 표현된 말이 참 와닿는다. 슬프게도..
몇살쯤 되면 사는게 좀 쉬워질까요?
행복해야할 푸르디푸른 청춘들에게 듣기엔 너무 아쉬운 말이 아닐수 없다.
이 책의 저자 윤성식 교수는 그런 안타까움을 담아내며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싶다.
책 표지 뒷면의 추천사 중에 제자 중 한명의 글귀가 눈에 띄었다.
교수님은 제자들 사이에서 '모모 교수님'으로 통한다. 남의 말을 귀 기울여 듣는 능력을 지닌 동화 속 모모처럼 고민이 있거나 좌절할때 교수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지혜로워지기 때문이다.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올때 어미 닭이 함께 알을 쪼아주듯 모모 교수님은 나를 세상 밖으로 나아가게 해준 내 인생의 가장 소중한 멘토이다.
교수님 자신의 솔직한 인생이야기서부터, 취업과 진로를 앞둔 학생들과의 솔직한 면담에 이르기까지.. 직접 면담을 하지는 않았지만 이럴때 어떤 도움을 받았으면 좋을까 싶은 청춘들에게 더욱 와닿는 그런 내용이 아니었나 싶다.
이미 30대를 훌쩍 넘겼음에도 앞으로의 일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충분히 도움을 받을 그런 내용들이 꽤 많았다.
그냥 살아가고 있을뿐 내 인생에 대해 진지한 성찰을 해보지 않았는데, 하루의 1/10만 삶을 성찰하는 시간으로 쓰라는것.
엄청나게 긴 시간 같아도 뭉텅이로 시간을 잘라내 쓰라는게 아니라 짜투리 시간들, 잠깐 잠깐 흘려 보내는 그 시간 시간들을 소중한 성찰의 시간으로 만들어보라는 것이었다. 세계에서 가장 바쁠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회장은 일년에 딱 한번 2주의 시간을 내어 은둔의 시간을 갖는다 하였다. 이 시간을 think week라 부른다 한다. 저자인 윤성식 교수님 또한 군대에 있던 시간을 자기 성찰의 시간으로 갖고, 지금 그 계획 하에 진지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운동 역시 그러하다. 워낙 체육 자체를 싫어해 즐기지 않았던 나이기에 사람들이 하루 한시간 이상씩 짬내어 운동하는 것을 참 이상하게 생각해왔는데, 건강을 생각하고 지구력을 키우기 위해서라면 그 시간을 아까워해선 안된다 하였다. 서양 사람들이 한국 사람에 비해 끈기를 갖고 공부할 수 있는 것도 아주 어려서부터 학교에서부터 몸에 배어온 운동 시간들이 아이들을 튼튼하게, 건강하게 만들어주었다 한다. 한국 학생들이 조기 교육을 받으러갔다 건강해져서 왔다는 이야기도 의외의 부분이기도 하였다.
하루 한시간의 운동은 꼭 필수라는것, 우리 아들을 위해서도 명심할 부분이었다.
그외에도 내 이야기에 해당된다 싶을 부분들이 진로를 앞두고 고민하는 청춘들에게 무척이나 많게 느껴질 그런 책이었다.
힘들고, 누군가가 내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고, 인생에 도움이 될 그런 해답을 들려주길 기대하고 있다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란 말을 해주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