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야, 안녕! - 2011년 제17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ㅣ 비룡소 창작그림책 39
한자영 글.그림 / 비룡소 / 2011년 5월

이 책은 2011년 황금도깨비상을 수상한 그림책입니다.
심사위원님들의 심사평 중 "빗방울의 소리와 빛깔을 이토록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재능이 놀랍다"라는 설명이 눈에 띄게 띄지에 보이더라구요.
지금은 잠깐 비가 그친듯 하지만, 한동안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비가 쏟아진 며칠이 있었습니다. 집안에만 갇혀서 밖에 못 나가 갑갑했는데, 우산을 좋아하는 아들은 우산 쓰고 밖에 돌아다니고 싶어서 자꾸만 나가자고 보채고 울고 그랬지요. 아이가혼자 우산을 쓰면 아무래도 무거워서 자꾸만 우산을 떨어뜨려서, 결국에는 비에 다 젖을것같은 마음에 엄마는 자꾸만 안된다고 하였구요. 감기라도 걸리면 어쩌나 싶은 마음에 아이의 나가 놀고 싶은 마음을 자꾸 외면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엄마 어릴적에는 비를 더 좋아했던 것 같네요.
초등학교때던가, 발목까지 물이 차오르는 그런 장마비가 내릴때, 마치 수영장인양, 더러운 하수구 물이 가득한 그 곳에서 우산을 쓰고 첨벙첨벙 장화 신고 놀기도 하구요. (어차피 다 젖은거 놀기라도 하자 그런 심정이었던 것 같아요.) 비오는 날 친구들이랑 철푸덕이 앉아서 학교 운동장 한켠에서 수로도 만들고 댐도 만들어 놀았던 기억도 있어요.
하지만 엄마가 되고 보니, 게다가 어린 아들이 감기라도 걸릴까 무서워, 비가 많이 오면 절대로 나가지 않게 되고 조금 오더라도, 비옷에 우산에 완전무장을 시켜 나가거나 그것도 못 미더워 제가 업고 우산을 씌워나가기도 하였답니다. 엄마가 된 지금도 비가 좋긴 하지만, 집안에서 바깥을 바라볼때가 좋지..제가 맞는 비는 그닥 좋은지 모르겠어요.
이 책은 비를 만나는 그 설렘을 지렁이와 그 친구들을 통해 여실히 드러내주는 그런 책이었어요.
마침 비가 한참 오던 때라, 더욱 때에 맞게 잘 보여준 책이기도 했구요.
비! 하면 우중충한 회색을 떠올리곤 했는데 책 속의 비는 참 예쁘기만 하네요.
우리 아이들 눈에도 비가 이렇게 예쁜 색깔일까요?
첫 장을 넘기면, 이야기가 시작되기도 전에 보슬보슬 이라며 비가 떨어지는 모습이 등장을 합니다. 신기하게도 바로 글자로 말입니다. 화선지에 옅은 먹으로 쓴것 같은 우리 한글이 예쁜 흘림체로 비가 되어 내리고 있어요. 그 장면이 무척이나 인상 깊었어요. 우리 아이가 아직 글을 모르는 유아지만, 글을 알게 되면 우와~ 하며 감탄하게 될 장면이 아닌가 싶었네요.
땅 위로 무언가 툭~ 하고 떨어졌습니다.
맞아요. 밖에 나가 처음 비를 맞을땐, 어? 이게 뭐지? 이런 느낌으로 비가 시작되지요.
우산없이 비를 맞게 되면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비를 좋아하는 지렁이는 툭 ~ 하고 비를 맞자마자 "와, 비다!" 하며 방긋 웃으며 길을 나섭니다.
아마 우리 아이도 이런 기분이겠지요. 감기고 뭐고 간에 우산을 쓰고 멋지게 걸어도 보고 싶고, 우산 밖 토도독.. 빗방울이 우산에 튕겨나가는 경쾌한 소리도 듣고 싶을 테구요.
요즘 흥미롭게 보고 있는 코코몽 영어 dvd중에 비가 와서, 비오는 소리를 탭탭탭~ 하면서 탭댄스 소리로 살려내어 재미나게 춤을 추는 장면이 나와요. 알록달록 예쁜 우산을 빙그르르 돌려가며말이지요 아이도 그런 기분이었을텐데..엄마는 너무 아이 건강 걱정만 했네요.
시원한 빗방울을 온몸으로 느끼며 꼬물꼬물 기어다니는 지렁이가 신기하게도 하나도 징그럽지가 않아요. 비야안녕에서는 비와 친구가 된 지렁이가 무척이나 친근하게만 느껴지네요. 비도 예쁘지만, 지렁이 또한 행복한 기운을 우리에게 전달해주는 그런 메신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기에 징그러움쯤은 유쾌히 날려버릴 수 있었나봅니다.
커다란 빗방울 덕에 나뭇잎으로 아이쿠~하고 떨어져버린 지렁이는 느릿느릿의 대명사 달행이와 거북이도 만나게 됩니다.
세 친구 서로를 경계하며 누굴까 누굴까 궁금해합니다.그러다 커다란 물방울이 퐁~ 물왕관을 씌워주었어요.
우와. 물왕관이라, 정말 멋진 표현이예요. 서울우유 광고에서 정말 멋드러지게 떨어진 우유방울이 왕관처럼 느껴진다 생각했었는데, 세 친구 머리 위로 떨어진 빗방울도 퐁퐁퐁 소리를 내면서 멋진 왕관을 만들어주었네요.
덕분에 서먹함은 사라져버리고 세 친구들은 한바탕 웃고 비와 즐거운 여행을 마저 합니다.
와, 간단한 아이 그림책이었는데도 비의 즐거움이 남다르게 느껴진 책이었어요.
읽고 또 읽어도 느낌이 새로운 그런 책이네요. 그림속에 한글 의성어가 그림처럼 들어간 그 느낌도 참 좋았구요. 비의 색감도 초록색 은은한 물빛으로 싱그럽게 느껴져 더이상 칙칙한 회색이 아니라 참 좋았네요
아이와 함께 하는 즐거운 비와의 만남, 아이를 더욱 이해하게되는 그런 소중한 시간이 되었답니다.
엄마의 틀에 갇혀버린 지금은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 부수어야 할 벽이 너무나 많아진 기분이랍니다. 그동안 아이에게 화도 잘 안내고 그랬는데 오늘은 별일도 아닌데 정말 목청 높여 아이에게 큰 소리로 화를 내곤 했네요. 그래서인지 아이도 유난히 더 말을 안 듣고, 자다가도 몇번이나 놀라 울면서 깨더라구요. 정말 많이 미안했어요. 왜 그랬을까. 생각해보면 참을만한 일들이었는데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라는 핑계를 만들어 제 이기적인 감정을 아이에게 이입해 화를 내었던게 너무나 실망스럽고 미안한 기분이 되어버렸네요.
그러지 말아야지 다시한번 다짐합니다. 이렇게 소중하고 예쁜 아이에게 내가 무슨짓을 한건가 반성을 해봅니다. 그리고 다시 아이의 눈높이로 되돌아가기 위해 새롭게 노력을 하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