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미술관에 놀러간다
문희정 지음 / 동녘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나는 왜 이렇게 유쾌하고 생산적으로 즐겨보지 못했을까? 서울에 살면서 참 다녀볼만한 미술관이 많았음을 이 책 속에서 다시금 배우며 통탄스러웠다.

지방에 있는 각종 미술관들도 소개가 되면 더 고맙겠지만 서울의 미술관, 갤러리만을 싣기에도 이미 책은 충분히 두툼해져버렸다. 좋아하는 목록 중에 카페보다 편안하고 키스보다 설레는 세상의 모든 갤러리와 미술관을 꼽은 저자 문희정. 작가가 직접 쓰고, 찍고 그린 이 책은 정말 작가의 애정이 담뿍 뭍어나는 책일 것이다.

 

미술을 어려워하고 부담스러워하는 보통의 많은 사람들의 옆구리를 콕콕 찔러줄 이 책은, 전문 큐레이터의 지식이 담긴 책이라기 보다 미술관, 갤러리를 보다 더 편안한 휴식처, 혹은 데이트 장소 등으로 추천하고픈 작가의 마음이 담긴 책일 것이다. 부담없는 방문과 즐김.

 

연애할때도 이런 곳에 다녀보면 좋겠지만, 아기엄마가 되고 나니 이제는 아이 손을 붙잡고 좀더 생산적인 곳을 방문하고픈 바램으로 미술관 방문에 눈길이 가기 시작했다. 지방에 살다보니 미술관 자체가 거의 드물지만, 가까운 시립 미술관에 가끔씩 진행되는 전시회는 가격 부담도 거의 무료에 가깝게 적은 편이고, 사람도 드물게 한적해서 어린 아기와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어 좋았다. 이렇게 즐길 곳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즐길 장소와 즐길 거리에 대한 정보를 좀더 접했으면 좋겠다라는 마음으로 펼쳐들었기에 모두 서울의 멋진 곳들임을 알았을때는 아쉽기도 했다. 하지만, 인구가 제일 많이 집중된 곳이니 어쩔 수 없지 않은가?

그리고 앞으로 아이와 서울에 방문할 일이 꽤 심심찮게 있을테니 그때마다 손꼽아둔 미술관들을 한 두군데씩 꼭 보고 내려오는 일정도 괜찮을 듯 싶었다.

서울 사는 이들에게 혹은 나처럼 가끔 서울 방문할 이들에게 유용할 팁이 될 "나는 미술관에 놀러간다."

 

 북까페, 브런치 등 미술관 옆 놀이터에 대한 정보도 재미나다. 사실 그녀의 글들은 블로그에서 이미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나는 항상 이런 정보에 둔하다. 주로 요리나 여행, 책 쪽을 검색하다 보니 한정적인 성향 탓에 다른 분야의 유명한 블로거분들을 못 알아볼때가 많다. 하루 만오천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다녀가기도 하였다고 하니 그녀의 글이 얼마나 재미날지는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관람객에게 무심한 갤러리는 저쪽으로 미뤄두자.

에이, 퉤퉤.

38P

 

저자 설명을 다시 읽기전까지는 사실 저자가 여자분인지도 몰랐다. 에이 퉤퉤라니. 하지만 그녀는 젊고 발랄한 작가다. 그리고 감정에 솔직하여 거부감이 덜 드는 작가기도 하다. 그래서 독자들은, 그녀의 글을 읽은 사람들은 그녀의 말투에 푹 빠져드나 보다. 어려운 미술을 억지로 이해하기 보다, 이해하기 쉽고 관객에게 다가오고 어울리는 갤러리를 찾아나서라고 그녀는 과감히 조언한다.

 

흔히 알던 미술관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갤러리들을 소개해주는 이야기를 듣는재미가 제법 쏠쏠했다. 들어갈까 말까 무척 망설이게 만드는 보안 여관. 실제로 2004년까지 여관영업을 했던 곳을 메타로그에서 인수해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킨 곳이라 한다. 짖궂은 사람들에게는 재미난 여관이 될 법 하였다.

그런가 하면 일년에 단 두번만 개방한다는, 그 안에 얼마나 많은 고미술품이 있을지 모를 베일에 쌓인 간송 미술관 또한 흥미로웠다. 특별한 시기를 놓치면 갈 수 없는 곳. 그래서 더 궁금한 곳이 될 수 밖에..일제 강점기 조선 최대 지주집에서 태어난 간송 전형필 선생이 사재를 털어 국보 14점과 보물 12종 등 귀중한 문화재 수집한 것이 5천여점에 이르른다 하였다. 1938년 조선 최초의 사립박물관인 보화각을 세웠고 바로 지금의 간송 미술관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아, 이 모든 사실들을 이 책속에서 처음 접하다니 참 부끄럽기 이를 데 없었다. 일년에 두번, 전국의 미술 애호가들이 몰려든다고 하니 기회가 닿는다면 꼭 시기를 맞춰 가보고 싶다.

 

5월 5일 "어른"의 날을 맞아 남자친구와의 리움이라는 미술관에서의 데이트가 각종 에피소드와 함께 경쾌하게 진행된다. 미술관만 있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놀러가는 것이기에 즐길 수 있는 각종 이야기들이 그녀의 일화와 더불어 소개되는 점이 따분하지 않고 더 재미난 책으로 만들어주었다. 내가 즐겨 읽는 여행 에세이의 느낌이 물씬한, 그러면서 미술관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는 특징이 잘 살아있는 나는 미술관에 놀러간다. 진작 나도 좀 이렇게 미술관에 놀러다닐걸. 아쉽지만 앞으로라도 그녀가 소개해주는 멋진 데이트 장소, 가볼 곳 등을 꼽아 아이와, 신랑과 행복한 추억을 쌓아가고 싶어졌다.

 

우울할때 전시장을 찾고 나면 한 가지 확신이 든다. 롤러코스터나 바이킹도 이보다 더 나를 즐겁게 해 줄수 없으리라.

"이번에도 고마웠어. 가끔은 친구나 애인보다 네가 더 낫더라." 146P

 

채워지지 않는 2%를 당당히 전시장에서 찾는 작가. 미술관을 향한 그의 애정어린 시선에 그동안 어렵게만 느껴진 고정관념이 조금씩 허물어짐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