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몸 엑스포메이션
하라 켄야.무사시노 미술대학 히라 켄야 세미나 지음, 김장용 옮김 / 어문학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쟁’이라는 연극을 보면 4명의 성인남녀가 알몸으로 무대에 오른다. 지난해 국내 초연된 ‘논쟁’은 알몸 연기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도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유료관객 1만 명을 돌파 한 바 있다. 이 연극은 ‘개인과 사회’라는 소재를 가지고 몇 가지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알몸’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이 책은 제목 뿐 아니라 표지 사진까지 흥미를 가지게 하는데. [디자인의 디자인], [白]에서와 같이 디자인의 개념을 재창조하고자 시도했던 하라 켄야가 ‘알몸’이란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선보인다. 일본디자인센터 대표이자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인 하라 켄야씨와 그의 세미나 멤버들이 1년간 연구한 주제 ‘나체’에 대한 연구결과물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책을 처음 받아들였을 때 제목도 무엇인가를 상상하게 만드는데 거기다가 비닐포장으로 책을 철저히 가려놓아 그야말로 야한 책이라고 생각을 했다.

저자는 엑스포메이션이란 인포메이션의 상대어로 고안된 조어로서, 어떤 대상물에 대해서 설명하거나 알리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모르는지에 대한 것을 알게 하는 것”에 대한 소통의 방법을 말한다.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것을 미지화하는, 즉 틀림없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그 근원으로 되돌려 그야말로 그것을 처음 접하는 것과 같이 신선하고도 새롭게 그 맛을 재음미해 보려는 실험이라고 한다.

이 책에는 누드를 실어놓은 사진이 있다. 사진을 보노라면 왠지 성적인, 불유쾌함 또는 부끄러운 생각을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신체의 편차를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란다. ‘알몸’은 에로스나 수치심 등을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다루기 힘든 주제이다. 하지만 ‘나체 자전거’라고 말하면 어떠한 선택 사양도 붙지 않은 상태에서 설계된 자전거를 연상시킬 수 있고, ‘벌거숭이 브랜드’등을 얘기하면 일종의 손잡이가 없는 것과 같은 상품의 이미지를 연상시키게 된다.

신축성 있는 속옷인 팬티는 신체의 윤곽을 뚜렷하게 떠올리게 하기 때문인지 그것은 언젠가부터 사람 ‘엉덩이’의 이미지를 불러일으키는 매체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것 중 하나는 팬티를 입힌 물건이 사람의 신체로 보일 때 팬티의 존재는 ‘중립성’을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즉 팬티를 입힌 물건에 대해 사람의 신체로 보는 관점이 성립될 때, 대상물과 팬티는 신체와 팬티의 관계처럼 팬티가 신체의 일부가 된다는 주장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유사성의 성립과 함께 입힌 것이 신체화 되었을 때, 신체화하기 전에 지니고 있던 그 물건의 이미지는 종결되고 보다 개성적인 신체성을 지닌 캐릭터로 재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조형예술 및 미술의 기초에 해당하는 책이다. 미술을 공부하기 원하는 학생들과 일반인들에게도 예술에서의 살상력을 자극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한다. 책 내용과 사진들은 그동안 접하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 책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안내해 주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