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120가지 이야기 - 일본 황실 도서관의 수석 연구관에게 직접 듣는
이이쿠라 하루타케 지음, 허인순.이한정.박성태 옮김 / 어문학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을 이야기 할 때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한다. 그것은 일본이 지리적으로는 우리나라와 가까이 위치해있지만 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및 문화적인 차이는 너무나 크다. 이 책의 원전은 일본 황실 도서관 수석 연구관인 이이쿠라 하루타케 씨가 편저한 [日本人のしきたり]라는 책이다. 이 책은 일본의 가정에서 지금도 그대로 전해 내려오는 일본인의 생활 형태, 행동 양식 등 미시적인 관점에서부터 출발해 일본 문화를 소개하고 있어 외국인들은 물론 현지 일본인들에게까지 일본 문화를 소개하는 입문서로 화제를 불러 모은 책이다.

이 책은 '현재 일본문화를 이루는 근간은 어디서 왔는가'라는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해 준다. 저자는 일본인들이 행하는 다양한 생활 관습과 각종 연중행사들이 어디서부터 유래되었고, 언제부터 시작하였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120가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명쾌한 해답을 준다.

저자는 일본 문화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생활 관습을 총 11개의 주제로 묶어 매우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주제는 일본인의 자연과 신앙, 정월의 관습, 연중행사의 관습, 결혼의 관습, 임신. 출산의 관습, 경사의 관습, 선물의 관습, 편지에 관한 관습, 장례식의 관습, 운에 관한 관습, 관습과 관련된 속담 등 파트별로 관습들이 자세하게 소개되고 있고, 하나의 관습에 대한 설명이 핵심적인 내용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는 관혼상제 및 명절에 관련된 전통 관습이 상당히 많다. 특히 정월 등 연중행사와 관련한 관습 중에는 한국과 비슷한 것들이 많아 중국에서 한국으로 그리고 일본으로 이어지는 문화의 전래 과정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현재 많은 전통적인 관습이 잊혀지고 있지만, 새해의 첫 신사참배나 떡국을 먹는 등의 정월 행사는 여전히 일본인들이 소중하게 지켜오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의 관습들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것 같지만 세부적으로 약간씩 다른 관습들을 엿볼 수 있다. 책 매 페이지마다 관련된 사진을 수록해 놓음으로써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출산의 관습 중에서는 병원이나 조산원에서 무사히 출산을 마치면, 산모의 태반과 태아의 배꼽을 이어주던 탯줄을 오동나무 상자 등에 넣어 산모에게 건넨다. 탯줄은 임신 중 산모로부터 태아에게 전달되는 영양소의 보급로인 동시에 생명유지의 파이프로서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이어주는 원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장례식의 관습에서는 옛날 밤샘에서는 시신을 입관하지 않고 이불에 뉘어 둔 채, 유족이나 가까운 친척들이 초와 향불이 꺼지지 않도록 하며 시신과 함께 하룻밤을 지새우는 관습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밤샘을 하기 전에 입관한 후, 시신을 제단에 안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일본의 문화에 더욱 흥미를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이 지켜온 관습들이 일본인들을 정신적으로 하나로 묶는데 크게 기여하리라는 생각이 들었으며, 잊혀져가는 전통 생활 관습에 대해 그 유래를 알게 되어 더욱 풍부한 인생관을 갖춘 일본인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것을 기대하며 우리나라도 좋은 관습과 문화를 소중하게 여기는 운동이 일어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